2011년 1학기 바른국어생활과문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8 04:03
본문
Download : 20111기말_국문3_바른국어생활과문법.pdf
⑥ 가주어 같은 허형식이나 존재문의 잉여사와 같은 요소 ×
③ 관사 ×
예) 형이 물로 얼음을 만들었다. / 형이 동생에게/동생에 선물을 주었다.
제18강 피동법
⑧ 동사와 형용사의 활용이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짐
② 관계대명사 ×
제11강 어미(1):종결 어미
제 8 강 문장 성분
- 중략 -
① 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된 언어(교착어/첨가어)
② 국어의 문법 형태는 대체로 한 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가짐
③ 국어는 유정명사와 무정명사의 구분이 문법에서 중요성을 가지지 않음
다.(재료) / 어머니는 시장에 가셨다(도달) / 연필로 글씨를 쓰다(도구)
(2) 국어의 형태적 特性(특성)을 인구어적인 特性(특성)과 비교할 때 나타나는 현상
제1강 국어의 문법적 특징
제12강 어미(2):전성 어미
제17강 시제(2)
⑦ 복수 대상에 반드시 복수 표지가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
Download : 20111기말_국문3_바른국어생활과문법.pdf( 57 )
④ 국어에는 분류사(classifier:단위성 의존명사 또는 단위명사)가 발달
⑤ 인구어적 의미에 있어 일치 현상 ×
설명
④ 접속사 ×
(1) 형태적 현상: 단어형성, 품사 및 조사나 어미 등에 관련되는 현상
- 출제예상문제(해설포함)
제 9 강 격조사
제 6 강 품사(2):체언과 용언
2011년 1학기 바른국어생활과문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제16강 시제(1)
(1) 국어의 형태적 特性(특성)
1. 문법적 特性(특성)의 구분
제 3 강 단어와 단어의 구성 요소
제 7 강 품사(3):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예) -이, -가, - 께서, -의, -을/를, -부터, -조차 등
제 5 강 품사(1):품사의 분류
순서
제10강 보조사
제15강 대우법
① 국어는 대명사가 발달하지 않고 대명사의 쓰임이 극히 제약되는 언어 (국어에는 3인칭 여성대명사가 ×)





방송통신 > 기말시험
제20강 부정법
예) -접(마늘 한 접(100개)) / -마리(개 두 마리) / -손(고등어 한 손(2마리)) 등)
제19강 사동법
제13강 어미(3):동사구 내포문 어미
제 2 강 형태소
제 1 강 국어의 문법적 特性
제 1 강 국어의 문법적 특성 제 2 강 형태소 제 3 강 단어와 단어의 구성 요소 제 4 강 단어 구조와 단어 형성 제 5 강 품사(1):품사의 분류 제 6 강 품사(2):체언과 용언 제 7 강 품사(3):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제 8 강 문장 성분 제 9 강 격조사 제10강 보조사 제11강 어미(1):종결 어미 제12강 어미(2):전성 어미 제13강 어미(3):동사구 내포문 어미 제14강 어미(4):연결 어미 제15강 대우법 제16강 시제(1) 제17강 시제(2) 제18강 피동법 제19강 사동법 제20강 부정법 - 출제예상문제(해설포함)
방통대,방송대,기말시험,방통대기말시험,방송대기말시험,방송통신대기말시험,바른국어생활과문법,바른국어
제14강 어미(4):연결 어미
(2) 통사적 현상: 구성, component, 어순, 구성의 기능 및 문법적 요소와 연관되는 현상
제 4 강 단어 구조와 단어 형성
2. 형태적 特性(특성)
예) 철수가 나무에/나무에게 물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