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7 21:11
본문
Download :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hwp
이러한 전자악기의 特性(특성)은 전문가들만의 영역이라고 생각되었던 기악부분을 대중화 시켰으며 아마추어로 하여금 음악을 직접 연주, 녹음하며 즐길 수 있게 만들었다. 반대로 디지틀 회로는 그것이 소리라고 하는 구체적인 결과를 수행하기 전에 일단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는 수치정보를 만드는 회로를 뜻한다.
하나의 완전한 건반악기가 호로그램된 마이크 프로세서가 등장하면서 음색설정과, 그것의 수치 정보를 디지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 저장기술 발전에 따라 음색 데이터를 제공하는 신종업종까지 생겨났다. 이 경우 아날로그 악기란 소리 파형에 상응한 전압을 발생하는, 지속적 가변 전압 회로의 악기를 뜻한다. 각 포트는 한가지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 미디의 입/ 출구 - 미디포트 >
레포트 > 예체능계열
전자음악의 이해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
순서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 - 대학 레포트(report) 제출
설명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
Download :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hwp( 82 )
미디는 디지틀 신디사이저와 관계 기기(시퀀서, 효능기, 드럼머신 등등) 사이에서의 디지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표준 시스템이다.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9476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D%98%84%EB%8C%80%EC%9D%8C%EC%95%85%EB%A1%A0%5D%20%EC%A0%84%EC%9E%90%EC%9D%8C%EC%95%85%EC%9D%98%20%EC%9D%B4%ED%95%B4-9476_01.gif)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9476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D%98%84%EB%8C%80%EC%9D%8C%EC%95%85%EB%A1%A0%5D%20%EC%A0%84%EC%9E%90%EC%9D%8C%EC%95%85%EC%9D%98%20%EC%9D%B4%ED%95%B4-9476_02_.gif)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9476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D%98%84%EB%8C%80%EC%9D%8C%EC%95%85%EB%A1%A0%5D%20%EC%A0%84%EC%9E%90%EC%9D%8C%EC%95%85%EC%9D%98%20%EC%9D%B4%ED%95%B4-9476_03_.gif)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9476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D%98%84%EB%8C%80%EC%9D%8C%EC%95%85%EB%A1%A0%5D%20%EC%A0%84%EC%9E%90%EC%9D%8C%EC%95%85%EC%9D%98%20%EC%9D%B4%ED%95%B4-9476_04_.gif)

1)미디의 연결
1980년대 초만 하더라도 신디사이저는 아날로그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MIDI의 출현
[현대음악론] 전자음악의 이해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포트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미디 선이 필요하다. 이 회로는 수치정보의 전달과 저장이 정확하며 간단하며, 정확한 음고와 파형을 음악가가 쉽게 호로그램 저장, 호출을 할수 있다.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로 구성되는 미디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서 신디사이저는 반드시 수치 데이터를 신디사이저의 회로가 알아들을 수 있는 형태로 바꿔, 통역해 주는 일종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필요하다.
MIDI 란 무엇인가
신디사이저를 비롯하여 단순한 포타사운드에 이르기까지 전자악기는 종래 피아노가 지닌 여러 단점들을 극복하면서, 어느 수준의 음악을 효능적으로 연주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데이터가 출입하는 미디포트도 있어야 한다.
미디명령은 미디 선을 통해 한 방향으로만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