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동아세계체제형성의 정치경제학 -china(중국) 의 역할과 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0 00:17
본문
Download : 동아세계체제형성의_정치경제학.hwp
그 결과 日本(일본), 한국, 대만은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기회구조를 틈타서 1970년대의 日本(일본)과 동아시아 지역은 1960년대 부상한 유럽과 더불어 자본축적의 주요한 중심으로 등장하였다. 즉 1945-1970년에 걸친 자본축적의 상승국면에 고조되었던 자본주의 발전에 대한 기대와 믿음은 1970-1995년의 하강국면에 환멸과 회의로 바뀌었다. 동아시아의 등장은 단지 국가간 체계에서 “냉전구조”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즉 동아시아는 사회주의 세력과 자본주의 세력간의 패권경쟁 속에서 냉전의 최전선에 위치함으로서 남미나 동남아시아와는 달리 국가간 체제의 냉전구조에 가장 큰 influence을 받은 지역이다. 또한 이념적인 면에서 1968년의 세계혁명의 결과 자유주의적 합의가 파괴됨으로서 보수주의와 급진주의가 자유주의의 간섭으로부터 해방되어 세 이데올로기간의 투쟁이 재연되고 점진주의에 대한 믿음이 상실되었다는 점이다. 아프리카, 남미, 중동, 유럽, 미국조차도 이러한 부정적인 influence을 회피할 수 있었던 유일한 지역이 동아시아지역이라는 것이 월러스타인의 견해였다.
다. 동아시아지역은 세계경기 침체의 결과 나타난 정치적 결과에 따른 구좌파들이 주도한 반체제운동에 의한 반국가주의 정치가 이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있었고, 동아시아는 1970-1995년 사이 경제적 성장에서 심각한 하락을 경험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지역은 점진주의 개혁과 국가의 역할에 대한 환멸이 일어나지 않은 유일한 지역으로서 전통적인 민족국가의 개념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발전을 설명하게 된다.





설명
박사명, “동아시아 경제 위기의 정치 동학”, 한국정치연구회 엮음『동아시아 발전모델은 실패했는가』(서울: 삼인 1998)
――― , “세계체제와 지역주의 정치경제학”, 『세계정치경제』제 7호(세계정치경제연구소, 1999)
김한규,“전통시대 china(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세계질서”, 『역싸비평』2000년 봄호(통권 50호)
순서
동아세계체제형성의 정치경제학 -중국의 역할과 한계 [참고자료] 김경일, “동아시아와 세계체제 이론”, 『정신문화연구』, 1998/21권 1호(통권 70호) 김일곤, 『유교문화권의 질서와 경제』, 한국경제신문사, 1985, : ―――,“ 유교적 자본주의의 인간존중과 공생주의”,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열화당 1999. 4) 김진철, 『세계정치경제론』(서울: 세계정치경제연구소, 1994) ――― , “세계체제와 지역주의 정치경제학”, 『세계정치경제』제 7호(세계정치경제연구소, 1999) 김한규,“전통시대 중국중심의 동아시아 세계질서”, 『역사비평』2000년 봄호(통권 50호) 박사명, “동아시아 경제 위기의 정치 동학”, 한국정치연구회 엮음『동아시아 발전모델은 실패했는가』(서울: 삼인 1998) 신광영,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문학과 지성사,1999) 오용석, “동아시아 경제발전모델: 중국의 경우”, 한국비교경제학회 제 7차 학술대회, 『아 시아적 경제발전은 가능한가?』1998.12. 유석춘, ‘동아시아 유교자본주의의 재해석“, 『전통과 현대』1997 겨울호 이수훈, “반주변부적 국가발전의 성공과 좌절”, 한국비교사회연구회 편,『동아시아
오용석, “동아시아 경제발전모델: china(중국) 의 경우”, 한국비교경제학회 제 7차 학술대회, 『아 시아적 경제발전은 가능한가?』1998.12.
Download : 동아세계체제형성의_정치경제학.hwp( 42 )
―――,“ 유교적 자본주의의 인간존중과 공생주의”,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열화당 1999. 4)
[참고자료] 김경일, “동아시아와 세계체제 이론(理論)”, 『정신문화연구』, 1998/21권 1호(통권 70호)
1. 문제의 제기
동아세계체제형성의 정치경제학 -china(중국) 의 역할과 한계
신광영, 『동아시아의 산업화와 민주화』(문학과 지성사,1999)
이수훈, “반주변부적 국가발전의 성공과 좌절”, 한국비교사회연구회 편,『동아시아
3. 동아시아 세계체제의 형성과 발전
4. 맺음말
김일곤, 『유교문화권의 질서와 경제』, 한국경제신문사, 1985, :
[중요] 동아세계체제형성의 정치경제학 -china(중국) 의 역할과 한계
동아세계체제형성, 주류 세계체제론,동아시아적 의미 ,해역경제권론,동아시아적 분업체계,정체적 제3세계, 동아시아의 위기,유교자본주의론,막스 베버,중국의 역할과 한계,
유석춘, ‘동아시아 유교자본주의의 재해석“, 『전통과 현대』1997 겨울호
김진철, 『세계정치경제론』(서울: 세계정치경제연구소, 1994)
2. 동아시아 세계체제의 역사적 기원
세계체제론자들의 동아시아관은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볼 수 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첫째는 자본주의 세계경제가 서부 유럽에서 출현하여 세계의 다른 지역들(남미, 아프리카, 아시아)로 확산되어 갔다는 주류 견해로서 세계체제라는 보편적 theory(이론)에 비추어 동아시아라는 특정지역을 설명하고 있다 월러스타인으로 대표되는 주류 세계체제론자들은 동아시아 해역경제권과 조공무역체계론을 인정하려고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