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의 조직과 인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4 09:36
본문
Download : 공기업의 조직과 인사.hwp
사장의 직근 하급직원이라 할지라도 비서직 직원, 비상계획업무관장 직원, 부속기관의 직원, 전문분야에 관해 사장의 자문에 응하는 계약직 직원은 집행간부가 될 수 없다.
3)특징: 일반 직원은 임기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정년까지는 신분보장을 누리지만 집행간부는 직원의 신분보장에 관한 규정의(定義) 적용을 받지 않는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2장 공기업의 인사제도
제2절 직원의 임용
Download : 공기업의 조직과 인사.hwp( 12 )
제2절 최고 관리 층의 조직 형태
다.둘째, 공기업내부에서만 성장한 집행간부들이 국민경제 전반이나 사기업 경영에 관한 지식을 결여한 채 좁은 시야를 지니기 쉽다.
설명
공기업,조직,인사,공기업조직
2)개념: 집행간부는 1984년에 발효한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에 의해 신설된 최고경영조직이다.
제1절 임원의 임용
제1장 공기업의 조직
제1장 공기업의 조직 제1절 공기업의 경영형태 제2절 최고 관리 층의 조직 형태 제3절 소비자보호기구 제4절 지수형태의 공기업(지주회사) 제2장 공기업의 인사제도 제1절 임원의 임용 제2절 직원의 임용





순서
제1절 공기업의 경영형태
1.폐지된 집행 간부 제도
제4절 지수형태의 공기업(지주회사)
공기업의 조직과 인사
나)단점: 첫째, 임기가 보장됨으로써 집행간부들이 안일한 자세로 경영에 임하기 쉽다. 집행간부는 소속직원 중 임명되어야 하나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 시행 당시의 정부투자기관의 임원은 당해 집행간부로 임명될 수 있다는 경과조치가 있었다.
제3절 소비자보호기구
4)집행간부제도의 장단점
1)검토의 必要性: 1984년 3월에 발효한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체제의 특징의 하나로서 의결기관과 집행기관 이원화의 core적 요소의 하나였다.
가)長點: 집행간부는 내부승진에 의해서만 충원하고 외부기용이 허용되자 즉, 공기업경영에 정통한 내부인사가 집행간부에 기용되면서 경영의 정상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