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하는 원칙]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하는 원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7 10:29
본문
Download : 좋은프로그래밍을 만들기 위.hwp
여기서 번역기는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를 말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3절에서 살펴 볼것이다. 설계된 언어가 복잡하면 구현 용이성이 떨어지는데 이러한 언어의 예로 ALGOL 60 과 Ada를 들 수 있다아
④ 프로그래밍 효율성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하는 원칙
프로그래밍 효울성은 설계된 언어로 얼마나 빠르고 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가에 달렸다.
일반성(generality)은 특별한 경우를 피하고 밀접하게 관련 있는 관념들을 하나의 더 일반적인 것으로 결합하는 성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하는 원칙]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하는 원칙
③ 구현 용이성
① 목적 코드의 효율성
●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하는 원칙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다. 이는 설계된 언어가 번역기에 의해 다르게 번역될 수 있어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하는 원칙
- 언어에 대한 효율성(efficiency)은 목적 코드의 효율성, 번역의 효율성, 구현 용이성, 프로 그래밍 효율성 등으로 분류할수 있다아
2. 일반성
설명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계하는 원칙
순서
Download : 좋은프로그래밍을 만들기 위.hwp( 11 )
1.효율성
번역기를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언어 구조가 간결하면 프로그래밍 효율성이 높아지는데 LISP가 이에 해당되는 언어이다.
목적 코드의 효율성은 번역기가 효율적인 실행 코드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번역의 효율성은 신뢰성과는 상반되는 성질로, 번역기가 오류 검사를 하지 않으면 번역의 효율 성은 높아지나 신뢰성은 떨어진다.
② 번역의 효율성
번역의 효율성은 번역기가 효율적으로 실행 코드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