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 존재하는 한국文化(culture) 유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5 02:31
본문
Download : 외국에 존재하는 한국문화유산.hwp
외국에 존재하는 한국文化(culture) 유산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외국에 존재하는 한국문화유산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안평대군의 발문을 보면, 안견은 이 그림을 3일 만에 완성하였다고 하며, 거기에는 안평대군의 제서와 시 한 수를 비롯해 당대 20여 명의 고사(高士)들이 쓴 20여 편의 찬문이 들어 있다아 그리고 그림과 그들의 시문은 현재 2개의 두루마리로 나뉘어 표구되어 있는데, 이들 시문은 저마다 친필로 되어 있어 그 내용의 문학적 성격은 물론, 서예사적으로 큰 가치를…(생략(省略))
설명
외국에존재하는한국文化(culture) 유산
외국에 존재하는 한국文化(culture) 유산에 마주향하여 정리했습니다.
Download : 외국에 존재하는 한국문화유산.hwp( 82 )
순서
다.외국에존재하는한국문화유산 , 외국에 존재하는 한국문화유산인문사회레포트 ,
2. 본론
*몽유도원도
1447년(세종29) 작. 비단 바탕에 먹과 채색. 106.5×38.7cm. 日本 덴리[天理]대학 중앙도서관 소장. 이 그림은 안평대군(安平大君)이 꿈에 도원에서 논 광경을 안견에게 말하여 그리게 한 것으로,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기(桃花源記)》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아 그리고 그 양식도 여러 가지 특색을 지니고 있다아 그 큰 특징은 그림의 줄거리가 두루마리 그림의 통례와는 달리 왼편 하단부에서 오른편 상단부로 전개되고 있으며 왼편의 현실세계와 오른편의 도원세계가 대조를 이루고, 몇 개의 경관이 따로 독립되어 있으면서도 전체적으로는 큰 조화를 이루고 있다아 또 왼편의 현실세계는 정면에서 보고 그렸으나 오른편의 도원세계는 부감법(俯瞰法)을 구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