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7 00:07
본문
Download : [의학][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hwp
▶ 하지마비 (paraplegia) : 등뼈 이하(흉추, 요추) 부위에서 척수가 손상되는 것으로 척수원추 및 마미손상을 포함한다.
(가) 마비된 몸의 부분에 따른 분류
▶ 사지마비 (tetraplegia, quadriplegia) : 목(경추)부분의 척수가 손상되는 것으로상지, 몸통, 하지의 운동 또는 감각기능이 단독 또는 함께 소실될 뿐 아니라 방광,
대장 및 성 기능까지도 상실된 상태다.
따라서 이들 환자에 대한 적절한 재활계획의 수립과 예후를 추정하기 위하여 임상적인 분류가 필요하며, 감각 및 운동기능의 평가에 의한 국제적인 척수손상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Download : [의학][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hwp( 35 )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척수손상을 당하는 수상부위 이하의 감각신경, 운동신경 외에 방광과 대장기능
조절하는 자율신경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이게 된다된다.
(나) 신경학적 기능수준 (neurological level)에 따른 분류
신경학적 기능수준이란 환자의 좌우 양측에 정상적인 감각과 운동기능을 유지하는 척수의 가장 아랫단의 분절을 지칭하…(생략(省略))(다) 완전 손상/ 불완전 손상
1) 중심척수 증후군(central cord syndrome)
2) 브라운-씨쿼드 (Brown Sequard) 증후군
3) 전방척수 증후군 (anterior cord syndrome)
4) 후방척수 증후군(posterior cord syndrome)
5) 마미총 증후군(Cauda equina syndrome)
A. 완전손상
B. 불완전 손상,
C. 불완전 손상,
D. 불완전 손상,
E. 회복,
순서
[의학][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 [의학][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작업치료학 척수손상 분류 임상적 특징
의학,작업치료학,척수손상,분류,임상적,특징,의약보건,레포트
[의학][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의학][작업치료학]%20척수손상의%20분류%20및%20임상적%20특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C%9E%91%EC%97%85%EC%B9%98%EB%A3%8C%ED%95%99%5D%20%EC%B2%99%EC%88%98%EC%86%90%EC%83%81%EC%9D%98%20%EB%B6%84%EB%A5%98%20%EB%B0%8F%20%EC%9E%84%EC%83%81%EC%A0%81%20%ED%8A%B9%EC%A7%95_hwp_01.gif)
![[의학][작업치료학]%20척수손상의%20분류%20및%20임상적%20특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C%9E%91%EC%97%85%EC%B9%98%EB%A3%8C%ED%95%99%5D%20%EC%B2%99%EC%88%98%EC%86%90%EC%83%81%EC%9D%98%20%EB%B6%84%EB%A5%98%20%EB%B0%8F%20%EC%9E%84%EC%83%81%EC%A0%81%20%ED%8A%B9%EC%A7%95_hwp_02.gif)
![[의학][작업치료학]%20척수손상의%20분류%20및%20임상적%20특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5D%5B%EC%9E%91%EC%97%85%EC%B9%98%EB%A3%8C%ED%95%99%5D%20%EC%B2%99%EC%88%98%EC%86%90%EC%83%81%EC%9D%98%20%EB%B6%84%EB%A5%98%20%EB%B0%8F%20%EC%9E%84%EC%83%81%EC%A0%81%20%ED%8A%B9%EC%A7%95_hwp_03.gif)
[의학][작업치료학]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다. 이때는 몸통과 하지의 마비와 방광, 대장, 성기능들의 장애가 있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