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31 06:04
본문
Download : 구비문학론.hwp
(a. 강쇠의 기물타령, b. 옹녀의 기물타령, c. 강쇠의 사랑가, d. 옹녀의 사랑가)
7. 옹녀와 강쇠가 도방살림을 한다. (a. 나무타령)
14. 강쇠가 낮잠을 늘어지게 자다가 일어나 장승을 뽑아 가지고 온다.
10. 옹녀가 강쇠에게 나무를 해오도록 설득한다.
5. 옹녀가 청석관에 당도하여 강쇠를 만나 당일행례를 울린다.
17. 대방장승이 팔도의 장승을 모은다.( a. 노정기)
6. 옹녀와 강쇠가 기물타령과 사랑가로 즐긴다.
8. 옹녀와 강쇠가 도방생활을 청산한다.
16. 장승이 대방장승을 찾아가 원정한다.
11. 강쇠가 완보행가하며 나무를 하러 간다.
9. 옹녀와 강쇠가 지리산에 정착한다.
(a. 방아타령, b. 산타령, c. 농부가, d. 목동가)
13. 강쇠가 도끼로 이나무 저나무를 찍어대며 나무타령을 한다.( a. 완보행가)
12. 초군(樵軍)아이들이 방아타령, 산타령, 농부가, 목동가를 부른다.
15. 강쇠가 옹녀의 충고를 무시하고 장승을 패땐다.
다.
2. 옹녀는 매우 아름다우나 청상살이 끼어 있다아
3. 옹녀가 매년 서방을 잃었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구비문학론1
레포트/인문사회
구비문학론
설명
구비문학론에 대한 글입니다.
Download : 구비문학론.hwp( 45 )
구비문학론에 대한 글입니다.
4. 옹녀가 쫓겨난다.구비문학론1 , 구비문학론인문사회레포트 ,
* <변강쇠가>의 요소analysis(분석) 을 통한 줄거리 체계
1. 도입부 : 중년에 비상한 일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