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9 12:14
본문
Download :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에 대한 연구.hwp
단체교섭의 근로자측 당사자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노동조합과 연합단체를 들 수 있다아 다만 연합단체는 소속 노동조합에 대하여 단체교섭에 관한 통제력을 확보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단체교섭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아 즉 연합단체의 경우에는 자주성 요건과 단체성 요건 외에도 소속 노동조합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을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노동조합간의 단순한 협의 내지 연락을 목적으로 하는 연합단체는 원칙적으로 단체교섭 당사자가 될 수 없다.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와 관련된 판례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노조법상단체교섭의당사자 ,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에 대한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노조법상단체교섭의당사자
레포트/법학행정
1. 단체교섭의 근로자측 당사자
단체교섭의 당사자가 될 수 있는 근로자 집단은 ‘대외적 자주성을 가진 단체’이고 ‘통일적 의사형성이 가능한 단체’이어야 한다. 김유성, 「노동법Ⅱ」, 130면
이와 관련하여선 지부나 분회가 단체교섭의 당사자가 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노동조합의 하부단체인 분회나 지부가 독자적인 규약 및 집행기관을 가지고 독립된 조직체로서 활동을 하는 경우 당해 조직이나 그 조합원에 고유한 사항에 대하여는 독자적으로 단체교섭하고 단체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아 이는 그 분회나 지부가 노노법 소definition 설립신고를 하였는지 여부에 effect(영향) 받지 않는다. 대…(To be continued )
Download :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에 대한 연구.hwp( 17 )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에 대한 연구
순서
노조법상 단체교섭의 당사자와 관련된 판례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설명






,법학행정,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