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無明)의 아홉 가지 양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7 21:52
본문
Download : 무명(無明)의 아홉 가지 양상.hwp
먼저 본각이란 생멸과는 상관없는 영우너한 진여의 체성이다. 이러한 여래의 법신이 중생들에게 널리 구유되어 있는 것을 본각이라 한다.
설명
다.무명 , 무명(無明)의 아홉 가지 양상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무명(無明)의 아홉 가지 양상과 가디머의 해석학에 있어서 이해의 대화적 성격에 대하여 작성했습니다. 그래서 이 아려야식은 불각심의 작용에 의해서 일체법을 낼 수 있고, 각의 작용에 의해서 일체법을 포섭할 수도 있따 이러한 아려랴식의 근본을 이루고 있는 각과 불각을 설명(explanation)한다. 본각은 성정 본각과 수염 본각으로 나누어진다. 그것은 허공과 같이 두루 편만되어 있으며, 무差別하고, 변이하지 않는 여래의 법신이다. {대승기신론}에서는 이 성정 본각을 거울에 비유하여 여실공경, 인훈습경, 법출리경, 연훈습경으로 설명(explanation)하고 있따
여실공경의 비유가 나타내는 각은 우리들이 본래 갖추고 있는 마음은 진여 그자체로 미혹과 깨달음에도 속하지 않는 적멸한 것이다.
각(vitarka)은 다시 본각과 시각으로 나누어진다.
성정 본각이라 할 때의 `성정`은 자성이 청정하다는 의미이다. 그…(투비컨티뉴드 )
무명
순서
%EC%9D%98%20%EC%95%84%ED%99%89%20%EA%B0%80%EC%A7%80%20%EC%96%91%EC%83%81_hwp_01.gif)
%EC%9D%98%20%EC%95%84%ED%99%89%20%EA%B0%80%EC%A7%80%20%EC%96%91%EC%83%81_hwp_02.gif)
%EC%9D%98%20%EC%95%84%ED%99%89%20%EA%B0%80%EC%A7%80%20%EC%96%91%EC%83%81_hwp_03.gif)
%EC%9D%98%20%EC%95%84%ED%99%89%20%EA%B0%80%EC%A7%80%20%EC%96%91%EC%83%81_hwp_04.gif)
%EC%9D%98%20%EC%95%84%ED%99%89%20%EA%B0%80%EC%A7%80%20%EC%96%91%EC%83%81_hwp_05.gif)
%EC%9D%98%20%EC%95%84%ED%99%89%20%EA%B0%80%EC%A7%80%20%EC%96%91%EC%83%81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무명(無明)의 아홉 가지 양상.hwp( 59 )
무명(無明)의 아홉 가지 양상과 가디머의 해석학에 있어서 이해의 대화적 성격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무명(無明)의 아홉 가지 양상
각(覺)과 불각(不覺)의 관계
대승기신론에서 아려야식은 생멸과 불생멸, 즉 각과 불각이 화합해 있는 진·망 화합식이다. 본각이란 중생심 자체가 일체의 差別적인 망념을 완전히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그 자체 자성 청정한 지혜의 작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