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포스트모더니즘_2047387.hwp
③인간의 이성이나 지식이 갖게 되는 history성과 우연성, 불확실성과 잠정성, 가변성과 다원성, 상대성을 강조.
1. 소여(所與)성의 부정과 가치부하설(value-ladenness thesis)
①이성이나 자아, 槪念과 언어, 실재라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이며, 그것들이 어떠한 불변의 내재적 본질을 지니고 있다는 생각을 부정함.
②가치 부하설, theory
부하설 : 인간의 인식과 지식은 인간이 지닌 관심과 동기, 신념과 가치관, 槪念과 theory
, 선행 지식과 경험에 기초하여 세계를 해석하고 이해하고 탐구한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것.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경향은 두 가지 경향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민주주의, 이성, 그리고 평등 등과 같은 모더니즘의 원리들을 확장하며 재정이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원리들을 해체하고 거부하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포스트모더니즘_2047387.hwp( 14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포스트모더니즘
레포트/인문사회
다.
②전통적 관점이란 인간이성과 합리성, 실재와 진리, 객관성과 중립성, 법칙과 논리, 구조와 分析 등의 槪念들이 point적인 근간을 이루는 관점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경향은 두 가지 경향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민주주의, 이성, 그리고 평등 등과 같은 모더니즘의 원리들을 확장하며 재정의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원리들을 해체하고 거부하는 것이다. 이것을 준거로 하여 모든 theory
과 행동을 평가하고 정당화했다. 이 준거에 합당한 theory
과 행동은 정당화되어 인정받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억압받거나 거부되었다.
⇒ 소서사는 총체적인 거창한 일 대신 개인이나 자기 주위의 일상문제에 관심을 갖고 그것에 대하여 대화를 나누는 일이다.
2.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견해
① 대서사(grand narratives)에 대한 거부, 형이상학적 철학에 대한 거부, 총체적 사고에 대한 거부로 기술
②근· 현대 사회는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큰 주제, theory
체계인 대서사 ( 큰 이야기, 메타서사)를 구축했다.설명
⇒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논리적 계승이며 발전인 동시에 그것에 대한 비판적 반작용이며 단절이다.
③진리나 지식, 합리성이나 객관성에는 절대 확실한 근거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며, 바로 그러한 근거를 밝히는 일을 철학의 기본 과제課題로 간주함.
①지식이나 인간인식에 있어 궁극적으로 절대적인 기초가 존재한다는 근대철학의 기본가정과 신념을 정초주의라는 이름으로 비판, 배격, 반정초주의를 그들의 기본입장으로 표방함.
②절대적이며 선험적· 초월적 기초는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인간에 의해 형성된 history적· 사회적 산물로서의 기초가 존재할 따름이다.
Ⅱ. 포스트모던 철학과 반정초주의
근대철학의 …(skip)
①근대철학은 17세기 Descartes 이후의 철학을 일컫지만 넓은 의미에서 세계와 인간을 이해하는 하나의 전통적인 철학 또는 관점을 가리킨다.
③포스트모던 사회에서의 담론
소서사(작은 이야기)로 바뀜. 포스트모던 사회의 구성원들은 인간해방, 국가발전, history적 진보 등과 같은 거창한 것보다는 자기 가정, 자기 직장, 자기 지history회 등과 같은 지엽적이고 자기 주변적인 것에 관심을 둔다. ⇒ 가치는 文化적인 구성물이며, 시대에 따라 변하고, 文化에 따라 다르기 때문. 사람들은 그들의 다양한 이해관계, 전통, environment 등에 따라 도덕성을 창조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