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료와 형상에 대한 고대 철학자들의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5 11:23
본문
Download : 질료와 형상에 대한 고대 철학자들의 논의.hwp
아낙시만드로스에서 무한정적인 질료의 세계가 피타고라스 학파에서는 한정적인 형상의 세계로 파악되며 이 형상은 바로 수의 원리이다. 이제 세계의 모습은 그 이루어진 질료 때문이 아니라 그것에 질서와 비율을 부여하는 형상 때문이라는 것이다. 수는 존재하는 모든 물질이 갖고있는 공통의 속성이다. 즉 세계를 이루는 근본물질은 무엇이가? 라는 물음을 넘어서 물질이 세계를 형성하는 근본적인 원리를 찾음으로써 세계를 질료와 형상으로 나누어 說明(설명) 한 것이다. 그러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와서는 질료로 부터 형상으로 그 중점을 두는것이 옮겨진다. 즉 만물의 變化(변화)는 수 라는 규칙적인 원리를 가지고 있다아 밀레토스 학파에서 세계의 본질은 질료에 중점을 두고 說明(설명) 되었다. 그들은 세계의 본질을 질료가 아닌 것에 서 찾는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수가 만물의 원리라고 하였다.
세계의 본질을 (질료든 형상이든) 자기동일성을 유지하고 있는 가장 근본이 되는 그 무엇에서 찾으려고 하는 이전의 철학자들에게 헤라클레이토스는 동의하지 않는다. 그에게 있어서 세계의 참된 본질은 물도, 공기도, 아페理論(이론)도, 수도 아니고 항상 대립되는 것들간의 끊임없는 투…(To be continued )
질료와 형상에 대한 고대 철학자들의 논의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질료와형상에대한고대철학자들의논의 , 질료와 형상에 대한 고대 철학자들의 논의인문사회레포트 ,
질료와형상에대한고대철학자들의논의
Download : 질료와 형상에 대한 고대 철학자들의 논의.hwp( 24 )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