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유식가들의 `진성`에 관한 제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3 21:29
본문
Download : 신라 유식가들의 `진성`에 관한 제설.hwp
또한 이 네 사람의 소설을 알리는 전적들이 공교롭게도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 장소들이라서 더 관심이 쏠리며, 의빈은 의연 등으로 불렸으나 다른 장소등을 통해서 의빈으로 확실하게 밝혀졌고, 아울러서 그가 또한 당 나라의 사람이 아니라 신라 출신이라는 사실도 여기에서 살펴 보고자 한다.…(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신라 유식가들의 `진성`에 관한 제설.hwp( 56 )
설명
신라 유식가들의 `진성`에 관한 제설






즉 그의「장진론위량현과결」중의「진성유법결」에서 이들을 다루고 있는 것이 그것인데, 여기에서는 유위법이라고 주장한 법사에는 지주와 의빈과 경흥 등...
즉 그의「장진론위량현과결」중의「진성유법결」에서 이들을 다루고 있는 것이 그것인데, 여기에서는 유위법이라고 주장한 법사에는 지주와 의빈과 경흥 등... , 신라 유식가들의 `진성`에 관한 제설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다.
그런데 여기에서 지주와 정만과 혜소 등은 당 나라의 사람들이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언급하기로 하고, 나머지 네 사람의 신라 출신 승려들 것만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1. 유법이라는 설
1) 의빈의 설
선주는 진성이 유위법에 포함되느냐 아니면 포함되지 않느냐 하는 질문에 대답해서 말하기를, 장차 이를 두 가지로 나누어서 논술코자 한다고 하면서 불입의를 먼저 서술하고 입의를 뒤에 서술한다고 했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입의를 먼저 introduce하고 뒤에 불입의를 introduce하고자 한다.순서레포트/기타
즉 그의「장진론위량현과결」중의「진성유법결」에서 이들을 다루고 있는 것이 그것인데, 여기에서는 유위법이라고 주장한 법사에는 지주와 의빈과 경흥 등이 있다고 하였으며, 무위법이라고 주장한 법사에는 정매, 신방, 태현 및 혜소 등이었다고 분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