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북한 사회구조 및 통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02 10:29
본문
Download : 북한사회구조및 통제-11.hwp
제 1절 북한의 사회구조 , 1. 사회정책 , 2. 주민 계층구조 , , 제 2절 주민통제 , 1. 구호와 운동 , 2. 조직적 통제 , 3. 경제 및 사회적 통제 , 4. 특별독재대상구역(정치범수용소), , 파일크기 : 48K
Download : 북한사회구조및 통제-11.hwp( 90 )
[사회] 북한 사회구조 및 통제
제 1절 북한의 사회구조 , 1. 사회정책 , 2. 주민 계층구조 , , 제 2절 주민통제 , 1. 구호와 운동 , 2. 조직적 통제 , 3. 경제 및 사회적 통제 , 4. 특별독재대상구역(정치범수용소), , FileSize : 48K , [사회] 북한 사회구조 및 통제인문사회레포트 , 북한사회 사회정책 구호운동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1. 사회정책 북한은 노동당 규약 전문에 "조선로동당의 당면목적은 공화국 북반부에서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를 이룩하여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과 인민민주주의의 혁명과업을 완수하는데 있으며 최종목적은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와 공산주의사회를 건설하는데 있다"고 밝히고 있는 것과 같이 북한의 사회정책 기조는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와 공산주의 사회건설'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 사회정책의 기본은 계급정책으로 헌법 제8조에는 "국가는 국가와 사회의 주인으로 된 로동자, 농민, 근로인테리와 모든 근로인민의 리익을 옹호하며 보장한다"고 명시하고, 기본계급을 노동자, 농민, 근로인테리 및 모든 근로인민으로 규정하고 이들이 주권을 행사하는 주체라고 주장한다. 즉,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중심이 된 자주적이고 창조적인 사회주의 사회를 目標(목표)로 설정하고 궁극적으로는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와 공산주의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 국가目標(목표)이며 사회정책은 이러한 국가目標(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북한사회,사회정책,구호운동,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