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격과 대격의 교체 / 주격과 대격의 교체 -한국어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9 04:33
본문
Download : 주격과 대격의 교체.hwp
한국어도 예외적 격 표시가 ‘판단 술어’가 상위 절 서술어로 나타났을 경우에 일어난다는 점에서는 영어와 동일하지만 (2ㄱ)에서 보듯 한국어에서는 동일한 구문에서 주어가 정상적인 주격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1) ㄱ. Tom believes [her to read the book].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2ㄱ)과 (3ㄱ)의 대조이다.





Download : 주격과 대격의 교체.hwp( 15 )
순서
주격과 대격의 교체
주격과 대격의 교체 / 주격과 대격의 교체 -한국어의
주격과 대격의 교체 -한국어의 예외적 격 표시- 1. 들머리 예외...
ㄴ. Tom believes her to read the book.
주격과 대격의 교체 / 주격과 대격의 교체 한국어의
1. 들머리
주격과 대격의 교체 -한국어의 예외적 격 표시- 1. 들머리 예외...
설명
ㄴ. Jane expect [him to love her].
이 논문은 (2)와 같이 한국어 예외적 격 표시 구문이 보여 주는 주격 대격 교체 양상을 현재 최소주의 문법(minimalist grammar)의 가정 아래서 어떻게 설명(說明)할 수 있는가를 탐구한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의 예문들에서는 하위 절이 ‘to’-부정사 절(to-infinitive clause)이어서 주어에 정상적인 주격을 부여할 요소가 없기 때문에 상위 절의 서술어가 격을 부여하는 것이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즉, 영어의 경우에는 하위 절이 부정사 절이라는 점과 상위 절의 서술어가 이른바 ‘판단 술어’들로서 양쪽 조건이 만족될 때 예외적 격 표시가 일어나는 것이다. 그런데,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경우는 영어의 경우와 다른 양상을 보여 준다.
ㄴ. 철수는 순희를 예쁘다고 생각했다.
다. 특히 한국어의 예외적 격 표시는 최소주의 문법의 중요한 concept(개념) 중 하나인 국면(phase)에 대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바,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일도 중요하다....
예외적 격 표시(ECM exceptional Case marking)란 아래에서처럼 하위 절의 주어가 ‘believe’, ‘expect’와 같은 상위 절의 서술어로부터 격을 받는 경우를 일컫는다.
-한국어의 예외적 격 표시-
(3) ㄱ. Tom believes she to read the book.
(2) ㄱ. 철수는 순희가 예쁘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