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학생 운동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7 17:35
본문
Download : 80년대 학생운동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hwp
5월 18일 천주교 定義(정의)구현사제단에 의해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의 진상이 은폐, 조작되었다는 사실이 폭로되면서 국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하면서, 학생운동은 ‘서울지역 대학생대표자협의회(서대협)’을 결성하며 결사항전의 자세를 가다듬기 스타트한다. 이후 전국은 대중적인 호응 속에 6.23, 6.26에는 전국적으로 100만 이상이 시위에 나서게…(dro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80년대 학생운동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hwp( 68 )
목 차, , , I. 연구목적 및 연구방향, , II. 학생운동의 개념, 1. 운동의 개념, 2. 운동의 일반적 성격, 3. 학생운동이란 무엇인가, , III. 80년대의 학생운동 1 (전반기 80년 - 87년), 1. 80년 - 83년, 폭압기, 2. 84년 - 86년 대중운동으로의 발전, 3. 87년 6월의 함성, , IV. 80년대의 학생운동 2 (후반기 88년 - 92년), 1. 88년 제2기 전대협 - 통일의 깃발을 올리며, 2. 89년 제3기 전대협 - 임종석과 임수경, 3. 90년 제4기 전대협 - 모든 길은 광주로 통한다, 4. 91년 제5기 전대협 - 분신정국, 5. 92년 제6기 전대협 - 범청학련과 한총련, , V. 80년대 학생운동이 미친 영향, 1. 80년 - 87년까지의 평가 대강, 2. 88년 - 92년까지의 평가 대강, , VI. 결론, , , FileSize : 69K , 80년대 학생 운동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인문사회레포트 , 80년대 학생운동 한국사회
80년대,학생운동,한국사회,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목 차, , , I. 연구목적 및 연구방향, , II. 학생운동의 concept(개념), 1. 운동의 concept(개념), 2. 운동의 일반적 성격, 3. 학생운동이란 무엇인가, , III. 80년대의 학생운동 1 (전반기 80년 - 87년), 1. 80년 - 83년, 폭압기, 2. 84년 - 86년 대중운동으로의 발전, 3. 87년 6월의 함성, , IV. 80년대의 학생운동 2 (후반기 88년 - 92년), 1. 88년 제2기 전대협 - 통일의 깃발을 올리며, 2. 89년 제3기 전대협 - 임종석과 임수경, 3. 90년 제4기 전대협 - 모든 길은 광주로 통한다, 4. 91년 제5기 전대협 - 분신정국, 5. 92년 제6기 전대협 - 범청학련과 한총련, , V. 80년대 학생운동이 미친 영향, 1. 80년 - 87년까지의 평가 대강, 2. 88년 - 92년까지의 평가 대강, , VI. conclusion , , , 자료(資料)크기 : 69K
80년대 학생 운동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다. 다음날 6월 10일 전국에서 총 24만 명이 참가한 총궐기가 일어나며 “호헌철폐”, “직선제개헌”의 구호는 전국을 가득 메운다. 고려대를 시발로 고문살인을 규탄하는 학생들의 시위가 확산되었고, 5공 정권은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며 전국민적인 분노를 자아내게 하였다.






3. 87년 6월의 함성 87년 1월 14일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서울대생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했다. 6월 1일 부터 6월 9일 까지 서대협 산하 총학생회장들은 6.10대회 총궐기를 호소하며 단식에 들어가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중 6월 9일 연세대생 이한열군이 전경의 직격탄에 맞아 쓰러져 혼수상태에 빠지는 일이 일어난다. 5월 27일에는 국민운동본부가 발족되고 6월 10일 국민대회를 선포하고 전국적인 총궐기를 준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