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싸학] 역싸의 시간과 culture의 공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30 07:52
본문
Download : [역사학] 역사의 시간과 문화의 공간.hwp
future(미래)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공간적일 수밖에 없는 것은 이와 같은 생존조건 때문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 적극적인 인간의 가치지향성에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선진국에서 먼저 文化(culture) 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지만 후진국에서도 같은 공간의식이 일어나고 있다. 어떤 alteration(변화) 가 어느 시기에 일어날 것인가를 예측해 보는 일보다는 어떤 environment(환경) 에서 어떤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인가에 더 관심을 두는 것 같다. 시간적 존재, 즉 history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관심이 공간적 존재, 즉 文化(culture) 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바뀌고 있다. 더 이상 자연을 거역할 수가 없다. 삶의 질의 문제가 된다는 뜻이며, 이것은 곧 생활 environment(환경) 의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역싸학] 역싸의 시간과 culture의 공간
철학적으로 말하자면 「존재와 시간」의 문제에서 「존재와 공간」의 문제로 관심이 바뀌어가고 있다. 시간적으로 생각하면 지난 천년을 살아왔듯이 앞으로의 천년도 그냥 그대로 살아갈 수 있을 것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공간적으로 생각하면 생태계의 문제를 의식하기 시작한 오늘의 우리는 과연 지구상의 생태계가 앞으로 천년을 지탱해 줄 수 있을 것인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文化(culture) 공간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모든 인위적 행위를 자연친화적인 것으로 제한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history학] history의 시간과 文化(culture) 의 공간
역사의 시간과 문화의 공간
1. 시간적 alteration(변화) 와 공간적 안정
순서
![[역사학] 역사의 시간과 문화의 공간-8223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C%97%AD%EC%82%AC%EC%9D%98%20%EC%8B%9C%EA%B0%84%EA%B3%BC%20%EB%AC%B8%ED%99%94%EC%9D%98%20%EA%B3%B5%EA%B0%84-8223_01.gif)
![[역사학] 역사의 시간과 문화의 공간-8223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C%97%AD%EC%82%AC%EC%9D%98%20%EC%8B%9C%EA%B0%84%EA%B3%BC%20%EB%AC%B8%ED%99%94%EC%9D%98%20%EA%B3%B5%EA%B0%84-8223_02_.gif)
![[역사학] 역사의 시간과 문화의 공간-8223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C%97%AD%EC%82%AC%EC%9D%98%20%EC%8B%9C%EA%B0%84%EA%B3%BC%20%EB%AC%B8%ED%99%94%EC%9D%98%20%EA%B3%B5%EA%B0%84-8223_03_.gif)
![[역사학] 역사의 시간과 문화의 공간-8223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C%97%AD%EC%82%AC%EC%9D%98%20%EC%8B%9C%EA%B0%84%EA%B3%BC%20%EB%AC%B8%ED%99%94%EC%9D%98%20%EA%B3%B5%EA%B0%84-8223_04_.gif)
![[역사학] 역사의 시간과 문화의 공간-8223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C%97%AD%EC%82%AC%EC%9D%98%20%EC%8B%9C%EA%B0%84%EA%B3%BC%20%EB%AC%B8%ED%99%94%EC%9D%98%20%EA%B3%B5%EA%B0%84-8223_05_.gif)
새 천년을 말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시간적 압박을 별로 받지 않는다는 뜻이다.
설명
[역사학] 역사의 시간과 문화의 공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역싸학] 역싸의 시간과 culture의 공간
우리 인간이 이 지구상에서 앞으로 백년, 이 백년, 도는 삼 백년을 더 살아남기 위해서는 더 이상 자연을 파괴해가지 않아야 한다는 당위는 누구나 받아들일 것이다. 오히려 공간적 위기감을 더 심각하게 느끼고 있다는 뜻도 된다된다. 그런 관심 이전에도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지금은 그것이 보편화되고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1.1 새 천년을 준비하는 우리 인간의 관심은 시간적이기보다는 공간적이다. 아마 앞으로 백년을 잘 넘길 수 있을지 의심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Download : [역사학] 역사의 시간과 문화의 공간.hwp( 25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