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 일과 가定義(정의) 양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8 11:09
본문
Download : [가족복지론] 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hwp
[가족복지론] 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 일과 가定義(정의) 양립]
○ 여성취업의 장애요인
1. 저출산 실태 및 실태: 지난강의reference(자료) 참고하여 정리
설명
○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 시간
순서
- 가사노동분담을 평등하게 하기 위한 measure(방안) 에는 무엇이 있는가?
Ⅰ. 가사노동분담현황 ○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 시간 - 가사노동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유급노동에서의 성역할 경계는 무너지고 있으나, 남성의 가사노동참여는 여성에 비해 절대적으로 낮은 동시에 아내의 취업여부와 관련이 없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음
- 직장에서 육아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도 실제로 작동되지 않고 있음. 출산 앞뒤로 아이를 보살피는 데 쓸 수 있는 ‘산전후 휴가제도’는 응답자의 50.1%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고 응답. 아이를 기르는 맞벌이 부부에게 필요한 것도 보육비 지원(18.4%)보다 직장 안 보육시설 제공(45.8%)을 꼽는 사람이 많음.
- 남녀간 가사노동분담 실태에 대한 평가: 성평등하다고 생각하는가?
- 2009년 노동부 조사결과: 응답자의 59.3%가 여성이 일을 구하는 데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육아 부담을 꼽음. 가사 부담은 18.5%, 기업의 남녀 차별적 관행은 12.9%. 육아 부담은 2007년 조사에서도 59.8%, 2008년에도 60.6%가 꼽아 가장 큰 장애요인이었음.
- 가사노동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유급노동에서의 성역할 경계는 무너지고 있으나, 남성의 가사노동참여는 여성에 비해 절대적으로 낮은 동시에 아내의 취업여부와 관련이 없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음
가족복지론,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 일과 가정의 양립
Ⅰ. 가사노동분담동향
Download : [가족복지론] 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hwp( 42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가족복지론] 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915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D%95%9C%EA%B5%AD%EC%9D%98%20%EA%B0%80%EC%A1%B1%EC%A0%95%EC%B1%85%5B%EC%A0%80%EC%B6%9C%EC%82%B0-9154_01.jpg)
![[가족복지론] 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915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D%95%9C%EA%B5%AD%EC%9D%98%20%EA%B0%80%EC%A1%B1%EC%A0%95%EC%B1%85%5B%EC%A0%80%EC%B6%9C%EC%82%B0-9154_02_.jpg)
![[가족복지론] 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915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D%95%9C%EA%B5%AD%EC%9D%98%20%EA%B0%80%EC%A1%B1%EC%A0%95%EC%B1%85%5B%EC%A0%80%EC%B6%9C%EC%82%B0-9154_03_.jpg)
![[가족복지론] 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9154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D%95%9C%EA%B5%AD%EC%9D%98%20%EA%B0%80%EC%A1%B1%EC%A0%95%EC%B1%85%5B%EC%A0%80%EC%B6%9C%EC%82%B0-9154_04_.jpg)
![[가족복지론] 한국의 가족정책[저출산-9154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4/%5B%EA%B0%80%EC%A1%B1%EB%B3%B5%EC%A7%80%EB%A1%A0%5D%20%ED%95%9C%EA%B5%AD%EC%9D%98%20%EA%B0%80%EC%A1%B1%EC%A0%95%EC%B1%85%5B%EC%A0%80%EC%B6%9C%EC%82%B0-9154_05_.jpg)
○ 맞벌이 부부의 직장생활과 가사, 자녀양육 병행의 어려움으로 부부가 직접 아이를 돌보는 비율은 40%이고, 타인의 도움이나 시설에 보내는 비율이 훨씬 많음. 국가 경쟁력을 위해 여성취업을 권장하지만, 취업부부들의 육아부담을 줄일 수 있는 사회적 시설은 미비함.
Ⅱ. 출산지원정책(1차, 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 논의사항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