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장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5 08:04
본문
Download : 판소.hwp
6. 엇모리
Download : 판소.hwp( 35 )
판소리 장단 장단연구 / (기타)





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창악인들은 ‘모리’로 쓰는 예가 많고, 모리는 ‘몰다’에서 나온 말이라 생각되기 때문일것이다 되도록 이면 창악인들이 쓰는 용어에 맞춰 장단을 요약하고자 한다. 2. 중모리
5. 휘모리
3. 중중모리
4. 자진모리
판소리 장단
8. 그 외 기타 장단
설명
판소리 장단에 관한 기본적 연구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보형의 「판소리 고법Ⅰ」의 내용을 중점에 둬서 하되, 장단의 대표적인 대목은 권오성의 『한민족 음악론』을 중심으로 했고, 장단형은 최동형의 『판소리란 무엇인가』를 더 첨가했다. 최동형의 『판소리란 무엇인가』(에디터, 1994)와 이보형의 「판소리 고법ⅠⅡⅢ」(『文化(culture) 재』11호 1977, 12호 1979, 文化(culture) 재 관리국),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서울:동문선, 1994), 박헌봉의 『창악대강』(국악예술출판부, 1976), 곽준의 『판소리와 장단』(서울:아트 스페이스, 1992), 권오성의 『한민족 음악론』(학문사, 1999)을 참고했다. 우선 여기서는 모든 명칭을 ‘모리’로 통일했다.
레포트 > 기타
1. 진양조
순서
판소리 장단 장단연구
판소리 장단 장단연구 / (기타)
7. 엇중모리
학자들 사이에서는 ‘머리’와 ‘모리’의 명칭을 두고 意見이 분분하다. 그 외에는 모두 출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