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개발원조(ODA) 특징, 분야별 배분, 소득별 지역별 배분, 지원, 現況, 국가별 동향, 국제협력단의 과제(problem)…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2 04:25
본문
Download : 공적개발원조(ODA) 특징, 분야별.hwp
설명
다.
1. ODA 분야별 배분 2. 소득별·지역별 배분 3. 공여국별 지원 현황 4. 국가별 동향 5. 공적개발원조(ODA)와 국제협력단(KOICA)의 과제 6. 향후 전망
4. 국가별 동향
국제사회의 ODA 분야별 배분(약정기준)
공적개발원조(ODA) 특징, 분야별 배분, 소득별 지역별 배분, 지원, 現況, 국가별 동향, 국제협력단의 과제(problem), 향후 展望, 관리, 역할, 시사점, 총체적 조사分析(분석)
5. 공적개발원조(ODA)와 국제협력단(KOICA)의 과제(problem)
6. 향후 展望
1990년대 이래 DAC 국가들의 ODA 배분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보건?인구에 대한 지원은 약 15%로 유지되었습니다. 외채탕감은 이라크(139억불), 나이지리아(55억불)에서 주로 이루어졌습니다.
공적개발원조,ODA 특징, 분야별 배분, 소득별 지역별 배분, 국제협력단의 과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공적개발원조(ODA) 특징, 분야별.hwp( 67 )
2004~2005년에는 교육?보건?인구(41%)와 외채탕감(20%)이 전체 ODA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중동 및 북아프리카에 174.5억불(26.1%)의 원조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인프라에 대한 지원은 1993년 19%에서 2003년 9%로 하락하였고, 2005년 11%로 다소 증대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최빈국(Least Developed Countries)에 대하여 174.6억불(27.5%)가 지원되었으며, 기타 저소득국에 124.9억불(19.7%), 고중소득국(Upper Middle-Income Countries)에 260.9억불(4.1%)순으로 지원이 이루어졌습니다. 농업을 포함한 생산 분야로의 배분 비중도 감소하여 2005년에는 1990년의 절반 수준인 6%까지 하락하였습니다.
3. 공여국별 지원 現況
%20%ED%8A%B9%EC%A7%95,%20%EB%B6%84%EC%95%BC%EB%B3%84-2433_01.jpg)
%20%ED%8A%B9%EC%A7%95,%20%EB%B6%84%EC%95%BC%EB%B3%84-2433_02_.jpg)
%20%ED%8A%B9%EC%A7%95,%20%EB%B6%84%EC%95%BC%EB%B3%84-2433_03_.jpg)
%20%ED%8A%B9%EC%A7%95,%20%EB%B6%84%EC%95%BC%EB%B3%84-2433_04_.jpg)
%20%ED%8A%B9%EC%A7%95,%20%EB%B6%84%EC%95%BC%EB%B3%84-2433_05_.jpg)
1. ODA 분야별 배분
2. 소득별·지역별 배분
2. 소득별·지역별 배분
순서
○ ODA 분야별 배분
ODA 소득별·지역별 배분 실태(순지출 기준, 2005년)
지역별로는 최빈국이 많은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 217.5억불이 지원되었으며, 전대륙의 32.5%로 가장 많은 원조가 이루어졌습니다.
소득별로는 저중소득국(Lower Middle-Income Countries)에 대한 원조가 309.2억불(전체의 48.7%)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