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학기 언어와의미 출석대체시험 core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1 19:12
본문
Download : 20172_출석_국문4_언어와의미.pdf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Download : 20172_출석_국문4_언어와의미.pdf( 97 )
③ 동음이의어였던 두 단어를 의미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재해석하여 하나의 단어로 간주.
1. 다의와 동음이의의 정의
- 중략 -
① 쓰다1 : 펜이나 연필 같이 선을 그을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여 한 글자의 모양이 이루어지게 하다
국어사전의 example(사례)
손으로 잡다 / 일손이 부족하다 등
① 완전동음어 : 형태상으로 일치하고 뜻이 다른 경우
쓰다.(글자를~) - 쓰다(돈을~), 다리(사람의~) - 다리(한강~) ⇒완전동음어
제7장 유의와 반의
언어의의미,방통대언어의의미,방송대언어의의미,언어의의미출석대체시험
제6장 다의와 동음이의, 상하의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② 쓰다2 : 어떤 일을 하는데 재료나 도구, 수단을 이용하는 것
④ 의미의 확장example(사례) : 손
제10장 문장의 구조와 통사의미
② 외국어에서 쓰이던 의미가 번역되어 수용되면서 이미 있던 단어에 새로운 의미가 추가 된다
제15장 화행과 함축
순서
② 유사동음어 : 동음어의 모습을 띄긴 했지만, 완벽하게 동음어라고 하기 어렵다.
① 새로은 현상이나 사물을 명명할 때 흔히 이미 있는 단어의 의미를 확장
(예/하느님 : 초자연적 절대자+기독교의 유일신)
③ 쓰다3 : 사용하다 (예/공원묘지에 묘를 쓰다)
제6장 다의와 동음이의, 상하의
제6장 다의와 동음이의, 상하의 제7장 유의와 반의 제10장 문장의 구조와 통사의미 제15장 화행과 함축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④ 쓰다4 : 사용하다 (예/윷놀이는 말을 잘 쓰는 것이 중요하다)
2. 다의어의 생성
3. 동음이의어의 유형





2017년 2학기 언어와의미 출석대체시험 core체크
유형별 example(사례)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