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政府(정부) 2년]IT강국 도약을 위한 課題-5대 선결課題 설문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22:55
본문
Download : 100225104402_.jpg
일부(31.5%)는 정부 프로젝트의 부실화 위험도 걱정했다.
Download : 100225104402_.jpg( 92 )
찬성하는 意見(의견)은 대기업이 정부입찰을 독식해 중소기업에 피해가 가는 것을 우려했고(50.6%), 창의력 있는 기업들에 기회를 줘야 한다(25.2%)가 주된 이유였다. 필요하다는 응답자들은 올바른 정책 수립과 효과(效果)적 실행을 위해(69.4%), IT에 기반을 둔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21.7%)를 그 이유로 들었다. 이를 위해 무선데이터 정액요금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意見(의견)이 79.8%(전적 동의 44.2%+대체로 동의 35.6%)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판단 유보적인 보통이라는 답변은 10.1%에 머물렀다. 컨소시엄을 반대하는 이들은 대기업에 역差別일 수 있다(41.3%)는 意見(의견)이 가장 많았다.
우선 약화되고 있는 IT강국의 위상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무선누리망 즉, 모바일 분야의 주도권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했다.
정보통신부와 같이 IT산업 정책 등을 총괄하는 미래부 또는 신성장동력산업부 같은 IT전담 부처의 必要性도 제기됐다.
순서
무선데이터 정액제 도입이 필요한 이유로는 스마트폰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를 늘려 관련 산업을 크게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동의한다 응답자 중 67.4%). 또 앱스토어 같은 경쟁력 있는 애플리케이션 장터를 만들 수 있는 지름길인 것으로 꼽았다(14.3%). 이외에도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유도하고 아이폰 같은 경쟁력 있는 단말기가 개발될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쳤다.
[이명박 정부 2년]IT강국 도약을 위한 과제-5대 선결과제 설문조사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kr
레포트 > 기타
다.
전자신문 미래기술연구센터(ETRC)가 실시한 ‘MB정부 출범 2주년 국정성과와 project’에서 IT종사자들은 남은 임기 3년간 해결해야 할 선결project를 제시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들은 통신비 지출이 늘어나거나 자원 낭비 등의 걱정을 그 이유로 들었다.
IT전담 부처가 필요하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는 4.4%에 머물렀고 부처가 늘어나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불필요한 규제가 늘어날 수 있음을 우려했다.
[이명박 政府(정부) 2년]IT강국 도약을 위한 課題-5대 선결課題 설문조사
이외에도 MB정부가 남은 임기 동안 해결해야 할 project를 묻는 objective(객관식) 답변은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한 자금지원 확대(36.5%) △거대 통신사업자 및 시스템통합(SI)업체의 독점 확대 제한(27.3%) △SW기업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전담 기구 마련(13.6%) △1인 창조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및 개발자 지원 확대(10.6%) △소셜미디어 등 IT 활용을 통한 열린정부 구축(9.0%) 등을 꼽았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意見(의견)은 10.1%(전혀 동의 안 함 5.0%+별로 동의 안 함 5.1%)은 극히 적었다. 보통이라고 답한 사람들은 18.7%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9.0%가 IT전담부처가 필요하다(반드시 필요 66.5%+대체로 필요 22.5%)고 답해 대부분의 IT 종사자가 그 必要性을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열린 IT생태계를 만들려면 무선누리망 시장 빗장부터 풀어라.’
[이명박 정부 2년]IT강국 도약을 위한 과제-5대 선결과제 설문조사
[이명박 政府(정부) 2년]IT강국 도약을 위한 課題-5대 선결課題 설문조사
설명





소프트웨어(SW) 정부 발주 시, 대기업 간 컨소시엄 금지 규정에 대한 찬반 조사에서도 찬성한다는 意見(의견)이 70.8%(전적 찬성 27.7%+대체로 찬성 43.1%)로 반대한다는 意見(의견) 10.5%(전적 반대 1.8%+대체로 반대 8.7%)보다 훨씬 많았다. 국민에게 보다 좋은 IT융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4.1%)와 수출 확대(4.0%) 등의 응답도 유효한 답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