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족주의의 두 얼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3 11:18
본문
Download : 한국 가족주의의 두 얼굴.hwp
한국 가족주의의 두 얼굴
한국 가족주의의 두 얼굴
한국 가족주의의 두 얼굴한국가족주의의두얼굴 , 한국 가족주의의 두 얼굴인문사회레포트 ,
2. 한국 가족주의의 긍정적인 면
한국의 가족주의는 동양의 유교culture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아 유교culture는 충과 효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아 충과 효의 의식이 고려/ 조선 시대 이후의 가문의 파벌화와 왕을 위시로 한 정치권력을 비판 없이 절대적으로 합리화 하는 데에 이용된 면이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1919년 3. 1 운동에서 보여준 결집된 민중의 힘도, …(省略)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한국 가족주의의 두 얼굴.hwp( 22 )
설명
한국가족주의의두얼굴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다. 이것은 한민족으로서 씨, 부족 농경사회를 이루며 정착하여 살아왔던 시대부터 유형화된 것으로 보인다. 자아의 확대는 자칫 잘못하면 개인의 주체성을 억누를 수도 있지만, 거기에 어떠한 명분이 주어졌을 때, 그 명분을 사회적으로 확대/ 유지시킬 수 있다아
반도에 위치하여 거대한 중국(China)의 무력과 culture적 압력 속에서도 우리 고유의 언어와 반도의 영역, 중국(China)과는 차별화된 culture를 지키며 살아남을 수 있었던 데에도 이러한 한국의 가족주의가 기여하지 않았을까 한다.
하지만 충과 효에 기반한 한국의 가족주의는 서구의 각각의 역할에 기반한 합리적 계약관계를 위주로 하는 가족주의와는 다른 점이 있다아 그것은 가족 내에서 한 개인의 자아가 개인을 넘어서 가족 공동체까지 확대되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