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컴퓨터 도입 40년의 발자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1 23:04
본문
Download : 한국 컴퓨터 도입 40년의 발자취.hwp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70년대 초부터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데이터통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었다.
순서
설명
2. 적응기
-한글 라인프린터 개발과 정보통신
KIST전자계산실은 70년 11월 한글 라인프린터 개발에 성공하였다.
-금융단 전자계산본…(생략(省略))






레포트/경영경제
한국 컴퓨터 도입 40년의 발자취
,경영경제,레포트
컴퓨터_도입
Download : 한국 컴퓨터 도입 40년의 발자취.hwp( 21 )
한국 컴퓨터의 도입기에서부터 적응기, 도약기, 방황기, 부흥기까지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한국 컴퓨터의 도입기에서부터 adaptation(적응) 기, 도약기, 방황기, 부흥기까지에 대상으로하여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대형 政府 전산프로젝트의발주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컴퓨터의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진 것은 지금으로부터 31년전 이다. 70년 6월 경제기획원 예산국(현 재정경제원 예산실)과 한국과학기술연구소 (KIST, 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전자계산실 간의 통신이 바로 그 효시이다. KIST가 CDC와 함께 한글 라인프린터의개발을 성공으로 이끈 직후 착수한 사업이 바로 71년 체신부의 서울시내 전신전화요금 업무 전산화와 문교부의 대학예비고사 채점 전산화였다. 사실 이두가지 업무의 전산화는 한글 라인프린터가 개발됐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국내 최대 용량이었던 KIST전산실(홍릉소재)의 대형컴퓨터 `CDC 3300`과경제기획원 예산국(광화문소재)의 배치터미널(Batch Terminal) `CDC 200 UT`가 체신부(현 정보통신부)의 전용선과 모뎀 장비에 의해 접속됐던 것이다.컴퓨터_도입 , 한국 컴퓨터 도입 40년의 발자취경영경제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