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4 16:38
본문
Download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hwp
정형시인 향가에서 결구의 첫 머리에 쓰인 ‘아으’는 결구의 처음 을 알리면서 그 이하가 한편의 시가를 완전히 종결짓는 역할을 하는데 비해, <정과정>에서는 감정이 고조된 부분에 감탄적 여음으로 삽입됨으로써 그 기능이 변별된다된다. 형식상 ‘아으’가 붙는 부분까지, 첫 단락은 감탄의 뜻을 담은 호소를 나타내고 둘째, 셋째 단락은 의문형 종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아으’가 어떤 의미 맥락에서 쓰이는지를 알게 한다.시가작품론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기타레포트 ,
시가작품론
①정과정
<정과정>은 보다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향가의 잔영’으로 평가되는 작품인데, ‘아으’ 부분이 작품에 두 번 나타나며 전체 의미 해석상 차지하는 비중도 꽤 크다. 또 곡조상 ‘아으’ 바로 다음에 附葉이 항상 뒤따르는 것으로 보아 음악 쪽에서도 표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기타,레포트
설명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에 관한 내용입니다. 또 <정과정>이 향가의 잔영이면서도 이 ‘아으’ 부분은 향가의 결구 첫머리에 사용되었다는 ‘아으’와는 그 성격이 달리한다.






레포트/기타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에 관한 내용입니다. 총 11행으로 구성된 이 작품을 크게 네 단락(4/2/4/1)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단락의 구분은 ‘아흐’가 쓰인 바로 다음 행까지 자른 것이다. 향가에서는 전체를 종결하는 기능을 맡았던 ‘아으’…(skip)
②정읍사
Download :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hwp( 24 )
순서
고려가요 여음의 기능과 특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