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상급 지방행정체제와 신분 및 출신지역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8 03:47
본문
Download : 조선후기 상급 지방행정체제와 신분 및 출신지역에 관한 연구.hwp
한편 각 영에서 각 邑과 관련된 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부류들 중에는 營吏뿐 아니라 營主人도 있따 營主人은, 각 營 衙門이 위치한 지역에 있으면서 邑과의 연락 등을 전담하는 데, 경우에 따라서는 조세 납부 등을 대행하거나 지방관의 개인 업무를 담당했음으로 그 역할은 단순히 연락에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19세기 중반 각 지방에서 농민 봉기가 일어났을 때, 營主人 등이 공격 대상에 오른 사실은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따
셋째 범주로서 상급 지방 행정 체제 및 상급 지방 군사 체제에는, 소속 邑에 대한 행정 감독 및 조세 책定義(정이) 실무를 담당한 營吏 외에 營門 자체 운영을 뒷바라지하도록 편성된 營人吏를 들 수 있따 그리하여 營吏와 營人吏는 각기 외무와 내무로 담당 업무가 나뉘어져 있었으며, 內務를 담당하는 營人吏들로 구성된 조직체가 營人吏廳, 경상도 감영의 責應을 담당한 營人吏廳은 營人吏를 비롯한 다음 직임들에 의하여 운영되었다.
人吏, 小童, 使令, 文書直, 妓生, 水汲婢, 營奴, 通引房下典(6) 鎭撫文書直(20) 軍牢房下典(7) 馬軍都訓導下典(47) 中營人吏廳下典(12) 牙兵都訓導下典(37) 小童房下典(12) 營奴保(12) 軍牢房下典(11) 羅…(생략(省略))
순서
조선후기 상급 지방행정체제와 신분 및 출신지역에 관한 연구
레포트/법학행정
조선후기상급지방행정체제와신분및출신지역에관한연구
,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조선후기 상급 지방행정체제와 신분 및 출신지역에 관한 연구.hwp( 12 )
조선후기 상급 지방행정체제와 신분 및 출신 지역에 관해 작성한 리포트입니다.조선후기상급지방행정체제와신분및출신지역에관한연구 , 조선후기 상급 지방행정체제와 신분 및 출신지역에 관한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다.
조선후기 상급 지방행정체제와 신분 및 출신 지역에 관해 작성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