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0 22:39
본문
Download : [교육학]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hwp
3) 사물이 定義(정이)되는 단계
① 명료화된 영상이 명확한 관념으로 변형되는 단계이다.
2)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
① 페스탈로치는 인간성은 타고 난 능력이 개인적 차원에서만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 속에서 발달한다고 보았다.
6. 도덕적 능력의 교육
1) 페스탈로치는 사랑을 도덕적 능력의 기초로 보았다.
2) 직관수업 : 수업은 사물에 대한 아동 자신의 경험과 생생한 관련을 맺을 수 있도록 하는 직관에 근거하여야 한다.
③ 예를 들어, 이름(언어)의 공부에 있어서 근본적인 요소는 말을 이루고 있는 음소(ㄱ, ㄴ, ㄷ, ㅏ, ㅑ )들이므로 먼저 이들을 명료하게 구분하게 한 다음 단계적으로 음절, 단어, 문장을 읽도록 한다.
2) 특히, 유아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신뢰, 사랑, 감사, 의존 등의 본능적 감정을 도덕생활의 기본 요소로 보고 가정교육을 중시했다.
② 읽기에 앞서 말하기를 가르치기, 쓰기에 앞서 그리기를 가르치기, 가까운 곳에서 먼 것으로 나아가기,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나아가기 등이 이에 해당된다
4) 기초적 도야의 원리
① 수, 형, 어의 관념은 성인의 수준에 해당되는 것이므로 아동의 수준을 훨씬 능가한다.
② 이 단계에서도 사물의 진정한 property(특성)은 파악되지 않는다.
3) 일반 학교에 대한 긍정적 입장 : 루소가 학교를 통한 교육을 부정한 반면, 페스탈로치는 학교가 좋은 가定義(정이) 본을 따라 개조되면 가정에서 처음
된 교육을 자연스럽게 이어나갈 수 있다고 보았다.
[교육학]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교육학]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교육학]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 [교육학]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 페스탈로치 교육사상
Download : [교육학]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hwp( 72 )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1. 루소 교육원리의 수정
- 페스탈로치는 루소의 모든 중요한 교육원리를 받아 들였지만, 이들 원리에 수정을 가했다.2) 인상의 명료화 단계
① 사물의 형태와 그 밖의 감각적 성질이 마음에 표상되는 단계로 ‘기술(記述)의 단계’라고도 부른다.
② 따라서 이들을 기본 요소로 나누어, 별개의 요소를 처음에는 따로 따로, 그 다음에는 서로 연관시켜 가르쳐야 한다.
2) 이상적 학교로서의 가정에 대한 견해 : 루소는 최선의 교육을 위해서는 탁월한 능력과 인격을 갖춘 부모를 둔 이상적인 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지만, 페스탈로치는 평범한 농부의 가정도 인간적인 유대와 일거리가 있는 한, 훌륭한 교육의 장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② 이때까지 개별적인 물체로만 알려지던 사물이 다른 사물과의 관계에서 파악되며 그것에 대한 지식은 定義(정이)의 형태로 표현되는 완전한 지식이 된다
4. 지적 능력 교육의 원리
1) 수, 형, 어(數, 形, 語)의 교육
① 아동이 사물에 대하여 진정한 의미에서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 위해서는 사물의 수, 사물의 형태, 사물의 이름을 알아야 한다.
② 이는 인간의 머리(head), 손(hand), 가슴(heart)의 작용에 상응하는 것으로, 이를 발달시켜주는 교육은 지적교육, 노작교육, 도덕교육이 된다
교육은 인간의 이러한 자연적 본성을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1) 교육의 적극적 측면 강조 : 페스탈로치는 진정한 교육을 아동 개인의 직접적 경험의 결과로 보는 루소의 소극적 교육에서 벗어나 교육이 아동의 능력 계발할 수 있다는 적극적인 입장을 취한다.
5) 교사의 임무 증대 : 페스탈로치의 교육plan에서는 교사가 아동과 사회를 연결하고 아동을 성인의 수준으로 끌어 올려야 하므로 루소의 교육론에서 보다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2. 교육의 목적
1) 인간성의 조화로운 발달
① 인간은 태어날 때 자연적 본성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인간의 자연적 본성 중에서 가치있는 것은,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지적 능력’, 생산적 작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술적 능력’, 선하게 되려고 노력하는 ‘도덕적 능력’ 등 세 가지이다.
5. 기술적 능력의 교육
1) 지식의 훈련은 기술의 훈련으로 보완되어, 수업의 결과로 얻은 명확한 관념이 행동의 형태로 적절하게 표현되어야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된다
2) 이를 위해 요구되는 것이 노작 교육이다.
② 그는 “사회적 環境(환경)이 인간을 만들고 인간이 사회적 環境(환경)을 만든다.
3. 마음의 성장과정
-…(To be continued )1) 감각 인상의 식별 단계 : 우리 눈앞에 놓여 있는 막연한 감각의 덩어리 중에서 개별적인 사물을 구별해 내는 단계이다.
4) 개인과 사회의 조화 : 페스탈로치는 인류 전체의 발달과 개체로서의 인간의 발달 사이에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 루소의 ‘개인주의’를 넘어서 교육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조화로운 발달을 강조했다.”는 원리로 교육을 사회개혁의 수단으로 보는 동시에 사회개혁이 또한 교육의 역할을 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