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8 00:46
본문
Download : 원효.hwp
그리고 다름(異)도 이질성이 아니다. 그…(省略)
,기타,레포트






원효의 화/쟁적 사유와 대승적 세상보기는 <하나>(一)의 동일성이 동질성의 획일적 지배가 아니고, <하나 아님>(非一)의 이타성이 이질성의 각일... , 원효기타레포트 ,
Download : 원효.hwp( 57 )
다.원효
원효의 화/쟁적 사유와 대승적 세상보기는 <하나>(一)의 동일성이 동질성의 획일적 지배가 아니고, <하나 아님>(非一)의 이타성이 이질성의 각일...
레포트/기타
순서
설명
원효의 화/쟁적 사유와 대승적 세상보기는 <하나>(一)의 동일성이 동질성의 획일적 지배가 아니고, <하나 아님>(非一)의 이타성이 이질성의 각일적 상충이 아닌 그런 <同卽異>와 <異卽同>이나 또는 <同而異>와 <異而同>의 사유를 진리로 여기는 가르침과 함께 간다. 이미 우리가 위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그 <같음>은 <다름>을 녹인 것이 아니기에 <다름>과의 이중성을 형성함에서 그 <다름>과의 동거 방식을 가리키고, 그 <다름>은 <같음>을 쪼갠 것이 아니기에 <같음>과의 이중성을 형성함에서 그 <같음>과의 차이 방식을 가리킨다고 봐야 한다. 원효가 말한 <同卽異>에서의 같음(同)은 동질성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화/쟁적 사유로서의 대승적 세상보기는 저 접속사인 <卽>이나 <而>의 의미를 밝히는 작업과 무관하지 않으리라. 여기서 화/쟁적 사유와 대승적 세상보기를 본질적으로 동일시하는 이유는 원효가 {대승기신론소}의 서문에서 말한 대승의 의미가 바로 화쟁적 사유의 역설적 배리와 일치하기 때문일것이다 이 접속사들의 의미는 우리가 이미 앞에서 밝힌 보충대리의 법이고 갈마들기의 법이고 원효가 말한 代謝의 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