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현단계 노동시장 진단과 정책과제課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27 03:53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현단계 노동시장 진단과 정책과제.hwp
未來(미래)를 책임질 세대라는 점에서…(省略)
up우리나라현단계노동시장진단과정책과제課題
우리나라 현단계 노동시장 진단과 정책과제up우리나라현단계노동시장진단과정책과제 , 우리나라 현단계 노동시장 진단과 정책과제경영경제레포트 ,
우리나라 현단계 노동시장 진단과 정책과제課題
,경영경제,레포트
다.설명
Download : 우리나라 현단계 노동시장 진단과 정책과제.hwp( 27 )
우리나라 현단계 노동시장 진단과 정책과제課題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I. 노동시장 진단
1. 실업률과 취업률 추이
작년 실업률(실업자/경제활동인구)은 3.4%로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2.6%)보다 0.8% 높았다. 실제로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7%로 1997년(5.7%)보다 2.0% 높고, 장년층(30-54세, 2.4%)과 고령층(55세이상, 1.4%)보다 크게 높다. 그럼에도 청년층보다 장년층과 고령층 실업률이 낮게 나타나는 것은, 이들 계층이 아에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비경제활동인구(실망실업자 포함)로 빠져나갔음을 의미한다. 실업률만 보면 우려할 상황이 아니지만 3개 지표 모두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고 있지 못 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따
[그림1] 연도별 실업률 추이 [그림2] 경제활동참가율과 취업률 추이
청년실업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경제활동참가율(경제활동인구/생산가능인구)은 61.4%로 1997년(62.5%)보다 1.1% 낮고, 취업률(취업자/생산가능인구)은 59.3%로 1997년(60.9%)보다 1.6% 낮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전과 비교하면 청년층 취업률은 45.6%에서 44.4%로 1.2% 감소한데 비해, 장년층은 76.6%에서 74.2%로 2.4% 감소했고, 고령층은 48.5%에서 43.3%로 5.2%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