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해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4 01:16
본문
Download : 부당해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hwp
② 사용자는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의 요양을 위하여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 또는 산전·산후의 여자가 이법의 규정에 의하여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은 해고하지 못한다.
☞ 벌칙: 근로기준법 제30조 1항과 2항을 위반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근로기준법 제32조(해고의 예고)
①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경영상 이유에…(drop)
설명
[노동법]부당해고어떻게대응할것인가 , 부당해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다. 다만, 사용자가 제87조에 규정된 일시보상을 행하였을 경우 또는 천재·사변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사업계속이 불가능한 때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해고, 정리(整理) 해고, 직권면직, 당연퇴직, 파면, 해직, 해임, 권고사직, 강제사직 등 명칭을 불문하고 모두 해고에 해당된다된다.
Download : 부당해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hwp( 78 )






[노동법]부당해고어떻게대응할것인가
부당해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I. 해고란?
해고란 노동자의 의사와는 상관 없이 사용자의 일방적인 의사표시에 의해 근로계약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을 말한다.
1. 법적 제한 규정을 지키지 않으면 부당해고이다
근로기준법 제30조(해고 등의 제한)
① 사용자는 근로자에 대하여 정당한 이유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기타 징벌을 하지 못한다.
③ 제항의 단서 후단의 경우에는 그 사유에 관하여 노동부장관의 인정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