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放浪)의 마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5 14:39
본문
Download : 방랑(放浪)의 마음.hwp
1954년 예술원 종신회원에 선출되고 1956년 예술원상, 1962년 서울시문화상을 수상했으며, 주요작품으로 ‘아시아의 마지막 밤 풍경’, ‘방랑의 마음’, ‘해바라기’ 등이 있다아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율격 : 내재율
구성 :
( 나 )
↓
지향 ↓ 내적 합일
↓
(바다) - 자유와 안식. 정신적 초월 세계
1연 안착할 수 없는 화자의 혼을 인식하는 데서 출발
2,3연 안착을 위한 노력
4연 내면에서 안정감을 획득해 가는 과정
5연 안정을 획득한 혼
제재 : 마음
주제 : 영혼의 안식처를 동경함. 현실을 잃어버리고 찾아 낸 마음속의 이상 세계에 대한 동경
출전 : <동명 18호>(1923. 1)
▶ 작품 해설
1923년 ‘동명…(省略)
지은이 : 오상순(吳相淳, 1894-1963) 시인. 호는 공초(空超). 서울 출생. 1920년 김억(金億), 남궁벽(南宮璧), 염상섭(廉想涉)... , 방랑(放浪)의 마음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EC%9D%98%20%EB%A7%88%EC%9D%8C_hwp_01.gif)
%EC%9D%98%20%EB%A7%88%EC%9D%8C_hwp_02.gif)
%EC%9D%98%20%EB%A7%88%EC%9D%8C_hwp_03.gif)
설명
방랑(放浪)의 마음
Download : 방랑(放浪)의 마음.hwp( 37 )
지은이 : 오상순(吳相淳, 1894-1963) 시인. 호는 공초(空超). 서울 출생. 1920년 김억(金億), 남궁벽(南宮璧), 염상섭(廉想涉)...
레포트/인문사회
다.,인문사회,레포트
지은이 : 오상순(吳相淳, 1894-1963) 시인. 호는 공초(空超). 서울 출생. 1920년 김억(金億), 남궁벽(南宮璧), 염상섭(廉想涉), 황석우(黃錫禹) 등과 함께 <폐허(廢墟)> 동인 활동. 초기 시편들은 주로 운명을 수용하려는 순응주의, 동양적 허무의 사상이 짙게 깔려 있다아 대부분의 세월을 방랑과 담배 연기, 고독 속에서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