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0 03:35
본문
Download : ‘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hwp
화자는 상대방이 자신을 혹시나 데려가나 하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아
1연에서 화자는 소성경을 떠나게 된 님께 사랑만 해주신다면 정든 고향과 소중한 길삼베를 버리고 따라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한다. 하지만 화자는 무조건 쫓아가겠다고 나서지 못한다.이별을 소재로한 고려가요에 대하여고전시가수정본 , ‘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이별을 소재로한 고려가요에 대하여






,인문사회,레포트
고전시가수정본
Download : ‘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hwp( 13 )
노래에는 화자와 상대방이 있고 사공과 건너편 꽃으로 표상 되는 여인 등의 제 삼자가 있다아 화자와 상대는 소성경에서 서로 사랑하던 사이였고, 지금 화자는 상대방이 소성경을 떠나려 함을 알게 되었다. ‘괴시란’하는 조건절을 앞세움으로써 지속은 상대방의 의사…(skip)
순서
‘이별’을 소재로 한 고려가요의 미학
설명
다. 고향과 길삼베 등 자신에게 속한 버리기 어려운 것들을 버리고 님과 함께 가겠다는 화자는 사랑의 지속에 능동적이다. 하지만 지속의 가능성은 상대방이 가지고 있고 그것이 성취되기가 어렵다는 예감이 ‘괴시란’ 라는 조건절과 ‘우러곰 좃니노이다’ 즉, 울면서 따라가겠다는 문면 속에 감추어져 있다아 점점 의미가 곡진해지면서 결국 헤어짐을 사이에 두고, 고향을 버리는 슬픔보다는 사랑 받는 기쁨이 훨씬 크기에 울며 쫓아가겠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사랑해준다면 버리겠다’가 아닌 ‘이별할 바엔 버리겠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