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역사) 의 인식 및 history(역사) 가의 임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8 09:40
본문
Download : 역사의 인식 및 역사가의 임무.hwp
[기말assignment]history(역사) 의인식및history(역사) 가의임무②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history(역사) 와 과학에 대한 글을 처음 으로, 보편성과 특수성, 주관성과 객관성, 필연과 우연..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history(역사) 의 인식을 돕고, history(역사) 가의 임무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기독교적 입장, 식민주의나 민족주의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씌어진 歷史(역사) 등은 엄밀히 말하여 歷史(역사)라기보다는 이데올로기로서 未來(미래)의 歷史(역사)의 진전에 어떠한 影響력을 미칠 것을 goal(목표) 로 하여 씌여진 것이지 비 편파적인 observe자의 입장에서 과거를 관망하고 음미하고자 하는 태도로부터 우러나온 것은 아닌 것이다. 歷史(역사)가들은 적어도 인식적으로는 객관적 안목에서 歷史(역사)를 인식하고 서술할 것을 이상으로 삼는다.
현재까지의 歷史(역사)책은 주관적 입장에서 씌어진 책들이 많다.[기말과제]역사의인식및역사가의임무② , 역사의 인식 및 역사가의 임무인문사회레포트 ,
history(역사) 의 인식 및 history(역사) 가의 임무
Download : 역사의 인식 및 역사가의 임무.hwp( 54 )
설명
다. . 歷史(역사)학도들 간에서 주관성과 객관성, 필연과 우연에 관한 논의가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추상적 입장을 떠난 지극히 현실적·기능적 차원에서 일 뿐이다.
역사와 과학에 대한 글을 시작으로, 보편성과 특수성, 주관성과 객관성, 필연과 우연..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역사의 인식을 돕고, 역사가의 임무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레포트/인문사회
□ 주관성과 객관성, 필연과 우연
歷史(역사)는 歷史(역사)가의 주관적 판단의 소산인가, 아니면 歷史(역사)가의 주관적 입장을 완전히 떠난 객관적 歷史(역사)인가? 歷史(역사)는 어떠한 필연적인 법칙에 의해 지배받고 있는가, 아니면 歷史(역사) 속에는 인간의 자유의지나 혹은 우연이라고 하는 것이 작용하는가?
이러한 문제들은 엄격히 말하면 철학의 영역에 속하는 문제들이지 歷史(역사)학도들이 독자적으로 취급할 성격의 문제는 아닐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