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다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7 06:45
본문
Download : 한국의 다구.hwp
칙이란 헤아린다 · 표준한다 · 제도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⑹수방(水防)
물통인 수방은 그 안팎을 꽉 붙여서 만들고 겉에 옻칠을 하되, 물 한 말을 담을 수 있게 한다. 혹은 삼목(杉木)을 휘어서 만들고 옻칠을 한다. 1방촌비는 현대의 약 2.74㎖에 해당하며, 이 숟가락으로 차 가루를 뜨면 약 1g 조금 넘는다. 만약 엷은 맛을 좋아하면 조금 덜고, 짙은 맛을 좋아하면 조금 더한다. 그 합은 대나무 마디로써 만든다.






⑷나합(羅合)
한국의 다구
Download : 한국의 다구.hwp( 83 )
순서
레포트/공학기술
나합은 큰 대나무로 만드는데 쪼개고 휘어서 틀을 짓고 비단으로 옷을 입힌다. 그 합은 대나무 마디로써 만든다. 혹은 삼목(杉木... , 한국의 다구공학기술레포트 ,
다. 그 합은 대나무 마디로써 만든다. 그래서 방촌비(方寸匕)라 한다. 혹은 동(銅)·철(鐵)·죽(竹)등으로도 만들며, 그 형상은 숟가락과 비슷하게 하고, 크기는 한치 정방형(正方形)으로 만든다. 대략 물 한되에 1방촌비, 즉 1칙을 넣는다.
⑸칙(則)
칙은 나합의 합 안에 넣어두는데, 조개껍질로 만든다. 혹은 삼목(杉木...
,공학기술,레포트
⑷나합(羅合)
나합은 큰 대나무로 만드는데 쪼개고 휘어서 틀을 짓고 비단으로 옷을 입힌다. 재료는 목질이 조밀(稠密)한 괴목(槐木)이나 추자를 주로 한다. 까닭에 방촌비라고 불리는 계량 숟가락을 칙이라 명명한 것이다.
⑺녹수낭
녹…(drop)
설명
⑷나합(羅合) 나합은 큰 대나무로 만드는데 쪼개고 휘어서 틀을 짓고 비단으로 옷을 입힌다. 나합은 자차를 연에 갈아 가루낸 것을 체로 쳐서 합(合)으로써 덮고, 그 가루를 저장하는 도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