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에 대한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08 20:48
본문
Download : 명리학에 대한 이해.hwp
그러나 이러한 언급에서 이학은 사장·고증·훈고와 대립하는 ‘의리지학’을 가리키는 말이다.






설명
명리학의 사상과 특징에 대상으로하여 알아보았고 명리학을 추구하였던 학자들에 대상으로하여도 조사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도학의 범위는 이학의 범위보다 좁다. 전체적으로 말하자면 도학은 이학이 발원하던 시기의 명칭으로서, 송대를 통틀어 볼 때 그것은 이학의 주류파를 특별히 지칭할 따름이지 이학 전부를 포괄할 수 있는 명칭은 아닐것이다. .
이학이라는 명칭은 남송 때에 처음 사용되었다. 명대에 와서야 이학은 송대 이래로 형성된 학술 체계를 가리키는 槪念이 되었고, 주돈이·이정·장재·주희의 도학과 육구연 등…(省略)
순서
명리학에대한이해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명리학에 대한 이해
명리학의 사상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명리학을 추구하였던 학자들에 대해서도 조사하였습니다.명리학에대한이해 , 명리학에 대한 이해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명리학에 대한 이해.hwp( 44 )
다.
혹자는 송명리학을 ‘송명도학’으로 부르기도 한다. 명대에 이르러 도학이라는 명칭은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다. 북송의 이학은 당시에 도학이라 불렸지만, 남송 때 이루어진 이학의 분화로 도학이라는 명칭은 남송 이학의 한 학파에만 사용하게 되었다. 주희는 일찍이 “이학이 가장 어렵다”고 말했고, 육구연도 “우리 시대의 이학은 한나라와 당나라의 학문을 크게 넘어선다”고 했으며, 황진은 “우리시대에 이르러서야 이학을 분명히 설명(說明)했으며, 비로소 훈고에서 벗어났다” 고 말했다. 사실 도학이라는 명칭은 이학이라는 명칭보다 일찍 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