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이동규칙과 Wh이동규칙의 property(특성)적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4 19:47
본문
Download : 20061m_youngamunzangguz.hwp
3) 상승구문
의문문을 만들기 위해 의문사구가 문두로 이동하는 의문사구 이동과 수동태 구문과 상승구문에서의 명사구 이동에 있어서 Move- α의 적용을 받아 문두로 이동할 때 그 문장의 문법성과 비문법성을 판별해 주는 여러가지 제약과 특징이 존재한다. 또한 명사구 이동을 지지해주는 설정동기로는 하위범주화, 일치, 관용구적 명사구, 재귀대명사, 선택제한 등 5가지 사실에 비추어 명사구는 수동태 구문과 상승 구문에서 하나의 component이 다른 빈 component 즉 빈 명사구인 주어 자리를 대치한다.
Download : 20061m_youngamunzangguz.hwp( 66 )
명사구이동 의문사구이동 NP이동규칙 Wh이동규칙 / (영어문장구조론)
1) 명사구 이동의 일반적인 特性(특성)
설명
3) 의문사구 이동의 공통된 자질
Ⅲ 結論
2) 주어 이동
1. 명사구 이동의 특징
이러한 사실들에 근거하여 앞으로는 명사구 이동과 의문사구 이동의 特性(특성)에 대하여 각각 예문을 들어 說明(설명) 하고 그 차이점에 관하여 비교분석하면서 명사, 의문사구 이동에 대해 심도있게 이해해 보도록 하겠다.
명사구이동 의문사구이동 NP이동규칙 Wh이동규칙 / (영어문장구조론)
NP이동규칙과 Wh이동규칙의 property(특성)적 차이
2. 의문사구 이동의 특징
4) 명사구 이동의 공통된 자질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의문사구 이동을 지지해 주는 설정동기로 하위범주화, 격이론, 일치, 관용구적 명사구, 축약형, 재귀대명사, 선택제한 등의 7가지 사실에서 의문사구는 기저구조의 흔적에서 출발하여 문두의 Spce자리로 변형규칙에 의해 첨가이동하게 된다.





Ⅱ 본론
2) 수동구문
Ⅰ서론
1) 목적어 이동
명사구이동 의문사구이동 NP이동규칙 Wh이동규칙
순서
다.
한편 의문사구 이동과 명사구 이동의 제약에 대해서 살펴보면, 어떤 문장의 Move-α가 적용되었을 때 그 문장의 문법성 또는 비문법성을 판별해 주는 제약으로 Chomsky의 하위인접조건이 복합명사구제약, 문장주어제약, 주어조건, WH-섬조건 등을 포함하고 있다아 복합명사구제약이란 동격명사절과 관계대명사절은 그 S로부터 어떤 오쇼도 변형규칙에 의해서 그 명사구 밖으로 이동해 나올 수 없다는 제약으로 어휘 핵인 제한경계를 넘어갈 수 없다는 제한 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