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답사] 하회마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0 05:06
본문
Download : [건축답사] 하회마을_1885.hwp
대문을 들어서 안채를 보면 바로 앞쪽에 문이
보이는데 이것은 문턱도 꽤 높을 뿐만 아니라 안에 부엌이 있는 것으로 보
아 아녀자들이 출입하던 곳으로 보통은 닫혀 있었을 거라 여겨진다. 항상
열려 있어도 밖에서는 볼 수 없고 어느 정도 안에 들어서야 비로소 안을
볼 수 있는 재미있는 공간이다. 남자가
출입하던 주출입구는 안채를 오른쪽으로 돌아보면 나타난다.
![[건축답사]%20하회마을_1885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B%8B%B5%EC%82%AC%5D%20%ED%95%98%ED%9A%8C%EB%A7%88%EC%9D%84_1885_hwp_01.gif)
![[건축답사]%20하회마을_1885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B%8B%B5%EC%82%AC%5D%20%ED%95%98%ED%9A%8C%EB%A7%88%EC%9D%84_1885_hwp_02.gif)
![[건축답사]%20하회마을_1885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B%8B%B5%EC%82%AC%5D%20%ED%95%98%ED%9A%8C%EB%A7%88%EC%9D%84_1885_hwp_03.gif)
![[건축답사]%20하회마을_1885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B%8B%B5%EC%82%AC%5D%20%ED%95%98%ED%9A%8C%EB%A7%88%EC%9D%84_1885_hwp_04.gif)
북촌댁
북촌댁은 전에는 99칸짜리 집으로 북촌의 경제권을 주도했다고 한다.
대문을 지나고 나면, 대문채가 방은 없고 외양간과 곳간으로 구성된 것을
보게 된다 대문을 들어와 바로 보이는 건 안채이고 오른쪽에는 별당채가
축에서 어긋나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다 별당이 따로 지어진 이유는 안채에
붙어 있는 사랑방이 너무 작아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 하자 새로 지었다던
데 그도 그럴 듯해 보인다. 사당채로 이어
지는 문 왼쪽으로 조그만 문이 나 있다 이문은 전형적인 `내외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많이 사라져 은 것은 문간채, 사랑채, 안채,... , [건축답사] 하회마을기행답사서평감상 , [건축답사] 하회마을
[건축답사] 하회마을
Download : [건축답사] 하회마을_1885.hwp( 90 )
설명
[건축답사],하회마을,기행답사,서평감상
순서
서평감상/기행답사
다. 문을 이용해서 직접적인 간막이로 사용…(생략(省略))
북촌댁은 전에는 99칸짜리 집으로 북촌의 경제권을 주도했다고 한다. 하
지만 지금은 많이 사라져 은 것은 문간채, 사랑채, 안채,...
북촌댁
북촌댁 북촌댁은 전에는 99칸짜리 집으로 북촌의 경제권을 주도했다고 한다. 하
지만 지금은 많이 사라져 은 것은 문간채, 사랑채, 안채, 사당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