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구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5 18:05
본문
Download : 부정구문.hwp
) 부사어는 수의적 component으로서 X`를 다시 X`로 확대하는 부가어의 구실을 한다. / 2. 아이가 잘 밥을 먹는다. / 3. 아이가 발을 잘 안 먹는다.
레포트/인문사회
2. 문법의 모형과 핵 계층theory
타동사의 부정구문은 VP의 보충어와 핵 사이에 부定義(정이) 부사어를 넣음으로써 생성된다된다. (예 : 영이가 그 책을 안 읽었다. 이를 통해 부定義(정이) 부사어 ‘아니’가 부가어이기는 하되 보충어보다 먼저 핵과 통합되는 부가어임을 알 수 있다아
1. 아이가 밥을 잘 먹는다.통사론의몇가지정리 , 부정구문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부정구문
부정구문에 대한 글입니다.
‘*영이가 안 그 책을 읽었다’라는 문장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정어는 보충어 앞에 나타나지는 않는다.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부정구문.hwp( 11 )
부정구문에 대한 글입니다. 라는 두 문장을 통해 ‘잘’과 같은 부사어들은 V` 부가어라 하기보다는 V 부가어라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함을 알 수 있다아 또한 3의 문장을 통해서 ‘잘’과 ‘안’이 공기하는 것도 가능하며 부가어의 교점이 두 개 있으면서 V를 다시 V로 확대했다고 할 수 있다아 그러나 3의 ‘잘’과 ‘안’을 바꾸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는 것으로 보아 국어에는 V를 V로, ADV를 ADV로 확대하는 핵 수식 부가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아 1차적 conclusion(결론)으로 계사 구문을 제외한 나머지 용언들이 핵으로 선택된 VP…(To be continued )
통사론의몇가지요점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