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행동과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와 유형, 평가 진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7 06:53
본문
Download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와 유형, 평가 진단.hwp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성격적 문제를 진단한다는 점에서 임상적 증후군과는 다르며 정신 지체 등이 포함된다된다. 둘째는 공존타당도로서 같은 장애로 진단된 환자들이 진단기준 이외의 다른 증상이나 증상발달과정 등에서 공통적 특성(特性)을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한다.
2. DSM-IV
축 1(Axis I)은 임상적 증후군(clinical syndrome)에 관한 정보로 구성되며, 개인이 현재 나타내고 있는 임상적 증상의 내용에 근거한 진단차원이다. 불안장애, 기분장애, 섭식장애, 수면장애등의 범주가 있다
축 2(Axis II)는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성격적인 특성(特性)으로 인해 適應(적응)상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를 뜻하는 성격장애를 진단하는 축이다.
3. 분류체계의 신뢰도와 타당도
신뢰도는 한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환자들의 증상이나 장애를 평가했을 때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축 3(Axis III)은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general medical conditions)에 관한 것으로서 비정상적인 신체적 장애나 신체 증상을 진단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와 유형, 평가 진단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와 유형, 평가 진단기타레포트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 분류와 유형 평 진단
이상행동과,정신장애,분류와,유형,평,진단,기타,레포트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와 유형, 평가 진단
순서






설명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레포트/기타
다. 셋째, 예언타당도는 동일한 장애로 진단된 사람들이 future 에 얼마나 동일한 행동과 reaction response을 나타내느냐 하는 점과 관련된다된다. 차원적 분류는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의 구분이 부適應(적응)성의 정도 문제일 뿐 질적인 차이는 없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즉 평정자간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진단은 흔히 세 가지 타당도로 평가된다된다.
제 2절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분류체계 : DSM-IV
1. 정신장애의 분류체계
알려진 Hippocrates는 정신장애를 조증. 우울증, 광증으로 분류하고 原因을 정액, 혈액, 황 담즙, 흑담즙과 같은 체액으로 설명(explanation)하고자 했다.
대표적 정신장애의 분류체계에는 1994년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표한 네 번째 개정판인 DSM-IV (Diagna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와 1992년에 세계보건 기구에서 발표한 열 번째 개정판 (정신장애의 분류와 진단 기준 포함)인 ICD-10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10th edition)이다.
타당도는 그 분류체계가 증상이나 原因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장애들을 제대로 분류 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를 뜻한다. 첫째는 原因론적 타당도로서 같은 장애로 진단된 사람들에게서 동일한 原因론적 요인들이 발견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19세기 말 독일의 정신의학자 Kraepelin에 의해서 정신장애의 체계적 분류작업이 처음
되었고 그의 분류작업은 오늘날의 정신장애 분류체계가 발전하는 기초가 되었다.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와 유형, 평가 진단
Download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에 대한 분류와 유형, 평가 진단.hwp( 33 )
제 1절 이상행동의 분류
1. 분류의 advantage(장점) 과 단점
2. 범주적 분류와 차원적 분류
3. 분류체계의 신뢰도와 타당도
제 2절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분류체계 : DSM-IV1. 정신장애의 분류체계
2. DSM-IV
제 3절 정신장애의 유형
1. 불안장애
2. 기분장애
3. 신체형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