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노동관계법 제도 개혁안 마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0 23:06
본문
Download : 3장노동관계법 제도 개혁안 마련.hwp
박헌수 위원은 노·사·공익 동수의 구성을 주장하고, 이주완 위원도 소위는 원칙을 정한 후 구성해야 함에도 불구하…(생략(省略))






다.
설명
,기타,레포트
순서
레포트/기타
96. 8. 6 제7차 운영위원회에서 법·제도 개혁에 관한 세부 개선안의 마련은 2분과 뿐만아니라 3분과와도 관련되는 업무이므로, 소위원회 구성...
Download : 3장노동관계법 제도 개혁안 마련.hwp( 38 )
96. 8. 6 제7차 운영위원회에서 법·제도 개혁에 관한 세부 개선안의 마련은 2분과 뿐만아니라 3분과와도 관련되는 업무이므로, 소위원회 구성... , 3장.노동관계법 제도 개혁안 마련기타레포트 ,
3장.노동관계법 제도 개혁안 마련
96. 8. 6 제7차 운영위원회에서 법·제도 개혁에 관한 세부 改善(개선) 안의 마련은 2분과 뿐만아니라 3분과와도 관련되는 업무이므로, 소위원회 구성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을 내고 노동관계법개정안작성소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하였다. 이광남 위원은 운영위원회에서 소위를 구성하여 발표하는 것은 위원회의 자율성을 침해한 것이므로 노사대표 각 3명을 참여시키자는 주장을 하였다. 1안은 상임위원을 위원장으로 하고 각 분과위원장 (3인) , 간사위원 (3인) 등 공익위원만으로 구성하는 안이었고, 2안은 배무기 상임위원을 위원장으로 하고, 공익위원 6명과 노사대표 각 2명으로 구성하는 내용이었다.
8.13 제6차 전체회의에서는 운영위원회에서 결정한 「소위원회 구성 및 운영계획안」을 의안으로 상정하여 논의하였다. 두 개의 안을 놓고 협의한 결과 2안의 경우 노사위원간 opinion대립으로 활동기간이 길어지거나 개정안 마련이 어렵고 원칙없는 타협안이 나올 가능성이 우려되어, 1안을 선정하여, 8.13 전체회의에서 최종결정하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