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민요의 분류와 분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9 17:33
본문
Download : 충청북도 민요의 분류와 분포.hwp
한 해의 논농사는 먼저 4월경에 논의 한 부분에다 볍씨를 뿌려서 못자리를 만드는 것으로 스타트된다된다. 아이 짐을 매고 7일 후에 이듬(두벌 김)을 매며 이듬 매기가 끝나면 바로 이어서 세벌 김을 맨다. 5월에는(절기로는 소만에) 거름으로 산에서 갈나무순을 꺾어다 논에 넣은 다음 소를 몰아 쟁기질을 하여 흙과 섞는다. 아이 짐이나 이듬은 호미 또는 손으로 매게 되지만 각 지역의 지질에 의해서 달라진다. 6월경에 모판에서 일정하게 자란 모를 뽑아서 넓은 논으로 옮겨 심게 되는데, 모를 뽑을 때 부르는 노래가 모찌는 소리이고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가 모심는 소리이다.충청북도민요의분류와 , 충청북도 민요의 분류와 분포자연과학레포트 ,
,자연과학,레포트
충청북도 민요의 분류와 분포
충청북도민요의분류와
순서
Ⅱ. 충북민요의 분포
ⅰ. 노동요
1. 농업노동요
농업노동요는 대부분이 논농사와 관련된 노래로 모찌는 소리, 모심는 소리, 논매는 소리, 타작소리, 말질하는 소리 등 다양하다. 모를 심고 약 20일이 지나면 처음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아이 짐(초벌 김)을 맨다. 이 때 산에서 갈짐을 지고 내려오면서 부르는 소리가 ‘갈짐지고 오는 소리`이다.
충북 민요의 분류와 분포에 대하여 說明(설명) 했습니다. 따라서 논은 모두 세 번을 매며 이 일은 대부분 8월 이전에(백중무렵) 끝이 난다.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충청북도 민요의 분류와 분포.hwp( 22 )






충북 민요의 분류와 분포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그리고…(To be continued )
다. 소를 몰아 쟁기질할 때는 소리를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