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일 근대문학 주고받기의 한 가지 사례 임화와 중야중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0 20:29
본문
Download : 한 일 근대문학 주고받기의 한 가지 사례 임화와 중야중치.hwp
임화와 , 한 일 근대문학 주고받기의 한 가지 사례 임화와 중야중치인문사회레포트 ,
임화와
순서
한 일 근대문학 주고받기의 한 가지 사례 임화와 중야중치
Download : 한 일 근대문학 주고받기의 한 가지 사례 임화와 중야중치.hwp( 86 )
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한국 근대 문학사 쓰기를 최초로 시도한 임화(1908~1953)가 <이식문학사>(1940)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래 상당한 기간 동안 이에 대한 시비가 있어 왔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쟁점 사항의 하나로 저만치 놓여 있다아 신소설 「혈의 누」(1906)의 작가 이인직(1862~1916)을 비롯 「무정」(1917)의 작가 이광수(1892~1950)도 일어로 습작을 하고 그 다음에 조선어 창작으로 나아갔으며 ꡔ창조ꡕ파의 김동인(1900~1951)은 日本 어로 구상을 하고 조선어로 표현하였고, 「표본실의 청개구리」(1921)의 작가 염상섭(1897~1963)은 日本 어 문체로 출발점을 삼았음은 <이식문학>을 논의함에 유력한 근거의 하나로 볼 수 있을지 모른다
한·일 근대문학 주고받기의 한 가지 사례 임화와 중야중치에 대한 글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한·일 근대문학 주고받기의 한 가지 사례 임화와 중야중치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