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理)와 기(器) 그리고 주희(주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11:07
본문
Download : 리理와기器그리고.hwp
뚜렷함과 은미함에는 차이가…(투비컨티뉴드 )
리(理)와 기(器) 그리고 주희(주자)
레포트/인문사회
1.리(이)와 기(기)의 선후관계, , 2. 리와 기의 동정, , 3. 리일분수(이일분수), , 4. 미발(미발)과 이발(이발), , 5. 심통성정 심통성정, , 6. 천명지성천명지성과 기질지성 기질지성, , 7. 주경함양 주경함양, , 8. 격물궁리 격물궁리, , 9. 도심도심과 인심인심, , 10. 먼저 알고 나중에 행한다. 장자에서 말하는 천하의 이치(천하지리), 순자에서 말하는 사물의 이치(물지리), 역전에서 말하는 궁리(궁리)등에서 알 수 있듯이 리학에서 말하는 리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사물의 규율과 도덕 원칙이다. 따라서 주자의 학문은 이전 도학자들의 학문을 집대성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아 리학에서 가장 큰 문제는 ‘리(이)란 무엇인가’라는 것이다. , 다운로드 : 35K
설명
순서






Download : 리理와기器그리고.hwp( 78 )
1.리(이)와 기(기)의 선후관계
2. 리와 기의 동정
3. 리일분수(이일분수)
4. 미발(미발)과 이발(이발)
5. 심통성정 심통성정
6. 천명지성천명지성과 기질지성 기질지성
7. 주경함양 주경함양
8. 격물궁리 격물궁리
9. 도심도심과 인심인심
10. 먼저 알고 나중에 행한다. 기가 되는 까닭으로서 리는 도(도)이다.
주희주자학동양철학,주자,유학,인문사회,레포트
1.리(이)와 기(기)의 선후관계, , 2. 리와 기의 동정, , 3. 리일분수(이일분수), , 4. 미발(미발)과 이발(이발), , 5. 심통성정 심통성정, , 6. 천명지성천명지성과 기질지성 기질지성, , 7. 주경함양 주경함양, , 8. 격물궁리 격물궁리, , 9. 도심도심과 인심인심, , 10. 먼저 알고 나중에 행한다.
주자의 형이상학은 주렴계의 태극도설을 골간으로 삼아 장횡거가 논한 ‘기’, 이정이 말한 형이상, 형이하 및 ‘리’와 ‘기’의 구분 등을 융합했다.- “자리이관, 칙리위체, 상위용, 이리중유상, 시일원야. 현미무간자, 자상이관, 칙상위현, 이위미, 이상중유리, 시무간야.” - 리의 입장에서 보자면 리는 본체이고, 모습은 작용이다. 리 안에 모습이 있으니 그 근원은 하나이다. “범유형유상자, 개기야,기소이위시기지리자, 칙도야.”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 기(기)이다. , FileSize : 35K , 리(理)와 기(器) 그리고 주희(주자)인문사회레포트 , 주희주자학동양철학 주자 유학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