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연중행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01:13
본문
Download : 일본의 연중행사_2059342.hwp
오늘날에는 방향과 관계없이 유명한 사찰이나 신사에 참배하러 가는 경우가 많다. 세쓰분 날 밤에는 각 가정에서 “귀신은 밖으로, 복은 안으로”라고 외치는 소리와, 집 안팎으로 콩을 뿌리는 소리가 들려온다.
2.세쓰분
입춘 전날을 말하며, 해에 따라 날짜는 다르지만, 대개 2월 3일 전후이다. 보통 12월 26일경에 장식하여 1월 7일경에 치운다. 풍습에는 가도마쓰, 시메카자리, 가가미모치, 하쓰모데가 있다 가도마쓰는 옛날에 각자의 집 문에 인줄을 치고, 소나무 장식을 설치하고, 소나무와 대나무로 만든 장식이다. 이 행사는 계절이 바뀔 즈음 “귀신(사악한 것이나 불행)은 집밖으로 나가고, 복(행운이나 행복)은 집안으로 들어오라“고 하는 바람이라고 한다. 콩을 뿌린 뒤 귀신을 쫓아내고 복이 나가지 않도록 문을 닫은 후 올 일년간의 건강과 평안을 기원하면서 가족 각자가 자신의 나이만큼 볶은 콩을 먹는다. 그 해에 가장 좋다고 여겨지는 방향의 사찰이나 신사에 참여하는 관습에서 에호마이리라고도 불렀다.
하쓰모데는 설에 처음으로 사찰이나 신사에 참배하는 것으로 참배자는 가족의 행운을 기원하다. 시메카자리는 신년의 장식물로서 볏짚을 왼쪽으로 꼬아 만든 시메나와(금줄)로 신을 모시는 선반인 가미다나 현관 등 집안 여기저기에 장식한다.
각지의 신사나 사찰에서는 유명인사 중에서 도시오토코를 뽑아 신도들에게 볶은 콩이나 별 사탕을 뿌려주는 행사를 하고 있어 많은 인파가 몰리…(투비컨티뉴드 )
,인문사회,레포트
일본의 연중행사를 계절로 구분하고 각각의 행사들이 어디서 유래가 되었는지 어떤 풍습을 갖고 있는지 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이 행사를 마메마키라고 한다. 日本 인들이 1년 중 가장 중요한 날로 여기는 것은 한해의 신을 맞이하는 행사로 이것을 잘 치르지 못하면 그 해가 불행해 진다고 믿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특히 1일2일3일을 산가니치라고 하여,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일을 쉬고 신년의 출발을 축하한다.
일본의연중행사
설명
다.일본의연중행사 , 일본의 연중행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일본의 연중행사를 계절로 구분하고 각각의 행사들이 어디서 기원가 되었는지 어떤 풍습을 갖고 있는지 소개하고 있는 글입니다. 가가미모치는 도시가미에게 바치는 동그란 모양의 찹쌀떡을 가미다마, 도코노마 현관 부엌 등에 놓아두는 것을 말한다.
Download : 일본의 연중행사_2059342.hwp( 44 )
일본의 연중행사






순서
Ⅰ서론
Ⅱ.본론 -日本 의 연중행사
1.오쇼가쓰
2.세쓰분
3.히나마츠리
4.단고노셋쿠
5.다나바타
6.오주겐
7.오본
8.오히간
9.시치고산
10.섣달그믐
Ⅲ.結論(결론)
Ⅱ.본론 -日本 의 연중행사
1.오쇼가쓰
1월 1일, 새해의 첫날로서 설날 혹은 원단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