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 위법쟁의행위의 민사책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29 18:58
본문
Download : 위법쟁의행위의 민사책임.hwp
법규준수의 쟁의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면제를 규정한 노동쟁의조정법 제8조와 정당한 쟁의행위에의 참가자에 대한 해고를 금지한 노동조합법 제39조 5호는 쟁의권보장이 가지는 위와 같은 민사면책의 당연한 effect를 예시적으로 확인한 규정이라고 해석된다된다.설명






레포트/법학행정
_ I. 서 론, _ II. 사용자에 대한 불법행위책임, _ III. 파업참가자의 계약위반책임, _ IV. 해고의 가능성, _ V. 제3자에 대한 불법행위책임, 파일크기 : 21K
순서
Download : 위법쟁의행위의 민사책임.hwp( 30 )
[노동법] 위법쟁의행위의 민사책임
위법쟁의행위,근로자의위법행위,임금문제,법학행정,레포트
쟁의행위란 파업, 태업, 보이코트, 피케팅, 직advantage거 등 근로자의 집단적 업무저해행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의 헌법 제31조와 같은 쟁의권의 보장은 市民법의 관점에서는 위법행위로 취급받을 수밖에 없는 쟁의행위를 원칙적으로 적법화하는 최고의 통일적 해석기준으로 작용한다.
_ I. 서 론, _ II. 사용자에 대한 불법행위책임, _ III. 파업참가자의 계약위반책임, _ IV. 해고의 가능성, _ V. 제3자에 대한 불법행위책임, FileSize : 21K , [노동법] 위법쟁의행위의 민사책임법학행정레포트 , 위법쟁의행위 근로자의위법행위 임금문제
다. 즉 불법행위 내지 계약위반을 근거로 한 손해배상 또는 해고의 제재를 과할 수 없다. 따라서 근로자의 쟁의행위가 쟁의권보장의 취지에 비추어 정당성을 가지는 한, 이에 관여한 노동조합과 조합간부 및 일반조합원에 대하여 형사책임은 물론 민사책임도 물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