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8 05:16
본문
Download : 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hwp
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에 관한 글입니다.
China 삼론종의 길장도 “속(속)은 불속(불속)의 뜻이요, 진(진)은 부진(부진)의 뜻이다.
“중관론.십이문론 등은 두루 집착을 파(파)하고 파(파) 또한 파(파)해져 능…(생략(省略))
설명
[교양]원효의중관,유식비판과대승기신론소
순서
Download : 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hwp( 43 )
다. 그러나 그러한 공관은 궁극적으로 일체법의 유(속)에 이른다고 했다. 인도 중관학파의 시조 용수(150~250)는 “공의가 있기 때문에 일체법이 이루어지고 공의가 없다면 일체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레포트/경영경제




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에 관한 글입니다.”(중론 권24 관세제품 송14, 이유공의고, 일체법, 득성 ; 약무공의자, 일체법, 칙불성)고 했다. 진속(진속)이 진속 아님을 깨치면 이것이 곧 무애(무애)의 도이니, 무애의 도를 깨친 까닭에 무애의 용(용)이 있고, 무애의 용을 얻음으로써 일체법이 속(속)이라는 뜻이 된다 ”(길장, 이체의 권중)
이러한 논리가 과연 타당성을 지니는지 그것이 문제이다. 그런 가유가 어떻게 다시 긍정(유(유))될 수 있는가? 원효는 이러한 중관의 問題點을 지적하였다. 일체법의 자성이 부정(공(공))된다면 일체법은 환상과 같은 가유(가유), 가명(가명)에 불과하다.[교양]원효의중관,유식비판과대승기신론소 , 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원효의 중관,유식비판과 대승기신론소
1. 중관과 원효의 비판
인도의 중관학파와 이를 계승한 China의 삼론종이 반야경에 입각해 일체법의 자성을 부정하는 철저한 공관철학을 전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