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목표설정단계] 목표설정 과정의 구성요소.hwp
Download : [목표설정단계] 목표설정 과정의 구성요소.hwp( 93 )
[goal(목표)
설정단계] goal(목표)
설정 과definition
구성요소
목차
goal(목표)
설정 과definition
구성요소
1. 제1단계: 상위층의 요구사항
2. 제2단계: 다른 부서의 요구사항
3. 제3단계: 직무책임의 명료화
4. 제4단계: 주요 결과영역의 결정
5. 제5단계: 상황 분석
6. 제6단계: 주요 가definition
형성
7. 제7단계: goal(목표)
의 작성
8. 제8단계: goal(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수립
9. 제9단계: 필요자원의 할당(예산)
10. 제10단계: 다른 부문과의 조정
11. 제11단계: goal(목표)
에 대한 권한의 적합화
12. 제12단계: goal(목표)
에 대한 피드백 적합화
13. 제13단계: goal(목표)
설정 과definition
반복
goal(목표)
설정 과definition
구성요소
개별경영자를 위한 goal(목표)
설정과정
경영자들은 goal(목표)
를 작성하기 전에 자신의 goal(목표)
설정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필요하다.
SWOT 분석(인력유용성)
6. 제6단계: 주요 가definition
형성
목표설정단계,목표설정,과정,구성요소,경영경제,레포트
[목표설정단계] 목표설정 과정의 구성요소
[목표설정단계] 목표설정 과정의 구성요소
[목표설정단계] 목표설정 과정의 구성요소 , [목표설정단계] 목표설정 과정의 구성요소경영경제레포트 , 목표설정단계 목표설정 과정 구성요소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다. 예를 들어 재무담당 관리자의 책임을 규정할 때 자금관리, 회계관리, 資料처리, 보고시스템 등의 기능을 포함시킴으로써 직무의 한계를 보다 명확하게 definition
할 수도 있다아
4. 제4단계: 주요 결과영역의 결정
경영자는 최대의 공헌을 할 수 있는 주요 활동 결과영역에 대상으로하여 노력의 우선 순위를 배정하게 된다
주요 결과영역이란 경영자가 goal(목표)
기간에 높은 성과를 성공적으로 성취해야 할 선택된 직무영역을 말한다.
3. 제3단계: 직무책임의 명료화
모든 경영자는 상사와의 대화를 통하여 조직이 그에게 기대하고 있는 직무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표의 왼쪽 부분은 현재 조직의 강점과 약점을 다루고, 오른쪽 부분은 미래 환경의 기회와 위험을 다루고 있다아
이와 같은 SWOT분석은 goal(목표)
설정에 있어서 goal(목표)
에 대한 주제를 유도하는 데 유용하며, 성취수준의 결정에 대한 지침을 얻을 수 있다아 예를 들어 강점과 호의적인 기회가 충분하고 약점과 위협이 적은 goal(목표)
는 경영자가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약점과 위협이 강점과 기회를 능가하는 goal(목표)
는 높은 성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아래의 그림은 goal(목표)
설정 과definition
단계를 예시하고 있다아 여기에서 실질적인 goal(목표)
의 작성은 제7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1단계에서 제6단계까지는 goal(목표)
작성을 위한 준비단계로서 goal(목표)
형성을 위한설계단계이고, 제8단계에…(省略)
1. 제1단계: 상위층의 요구사항
각 하위층 경영자는 상사가 goal(목표)
를 성취하도록 도와야 할 책임이 있다아 예를 들어 광고담당 관리자는 마케팅담당 부사장이 마케팅부문의 전체goal(목표)
를 달성하도록 도와야 할 책임이 있다아 하위경영층이 상위경영층의 goal(목표)
수행을 돕기 위해서는 goal(목표)
에 관한 확실한 정보가 필요하다.
경영자는 goal(목표)
설정 과정에서 흔히 주요 결과영역에 대상으로하여 SWOT(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threats) 분석을 이용하여 조직의 능력과 환경의 장 단점을 분석하게 된다
SWOT 분석(생산원가)
위의 그림과 아래의 그림은 SWOT분석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회사의 생산원가 수준과 인력유용성 수준에 관한 SWOT분석을 예시한 것이다. 즉, 각 경영자의 goal(목표)
는 다른 경영자의 복표와도 모순되지 않고 잘 조화되어야 한다.
주요 결과영역은 다음과 같이 양적, 질적, 시간적, 비용적 기준 등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1) 양적 기준 : 매출액 및 생산량의 수준 등
2) 질적 기준 : 고객만족이나 제품품질의 수준 등
3) 시간적 기준 일정계획 및 고객요구의 시한 등
4) 비용적 기준 : 운영비용 및 제조원가의 수준 등
한편 관리자의 주요 직무영역은 다음과 같이 열거할 수 있다아 이는 경영자의 goal(목표)
설definition
기초로 활용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조직에 있어서의 책임이나 우선 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아
1) 생산관리자 : 생산량, 생산원가, 생산일정, 생산품질, 생산능력, 생산능률
2) 구매관리자 : 구매가격 최적화, 재고 최적화, 원자재 품질, 납품업자 서비스 수준 및 질, 납품업자관계 효율성, 가치분석 효율성
3) 재무관리자 : 자금의 유용성, 자본비용, 투자수익률, 외싱채권 기간, 불량채권 수준
4) 판매관리자 : 판매이익마진, 판매수준, 상품매출믹스, 고객만족, 판매원 효율성
5) 인사관리자 : 임금 및 급여의 공정성, 행동變化, 인력유용성, 모집 자격, 근로자고용 적시성
6) 정보관리자 : 응용효율성, 기계유용화율, 직원유용화율, 운전비용수준, 비용/이익률, 고객만족, 출력품질
5. 제5단계: 상황 분석
상황 분석은 경영자가 그의 goal(목표)
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유익한 요인과 불리한 요인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경영자는 조직 및 환경적인 면에서의 강점과 약점 및 위협요인을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모든 상위경영층은 하위경영층에게 먼저 다음의 정보를 제공해야 할 책임이 있다아
1) 상위층의 goal(목표)
2) 기간 내의 goal(목표)
우선순위
3) goal(목표)
및 계획 작성의 기초로서 환경요인과 가정
4) goal(목표)
작성을 위한 기본규칙
2. 제2단계: 다른 부서의 요구사항
각 경영자는 goal(목표)
를 설정할 때 조직 내의 다른 기능부문과도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 이렇게 책임을 definition
하는 목적은 경영자들의 직무 한계를 명료하게 규정함으로써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의 혼돈을 최소화하고 역할의 모호성으로 인한 갈등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경영자는 goal(목표)
를 설정하는 데 있어 다른 부서에서 요구할 사항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가 다른 부서에 요구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경영자는 관련 있는 다른 부서의 goal(목표)
와 행동계획, 요구사항 등을 통해 goal(목표)
설definition
지침을 얻게 된다
예를 들어 생산부장은 영업부장으로부터 판매량과 판매일정계획에 관한 정보를 받아야 하고, 자금부장은 모든 부서장으로부터 필요한 자금액에 관한 정보를 받아야 하며, 품질관리부장은 생산부장으로부터 품질에 effect을 줄 생산방법과 공definition
변경계획에 관한 정보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