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택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18 05:46
본문
Download : 지역주택정책.hwp
지역주택정책 , 지역주택정책인문사회레포트 ,
다.
2. 불량주택의 concept(개념)
① 수준이하의 집(subtandard housing)으로서 주택지구의 외형, 부대시설 등의 물리적인 상태가 건전한 주거공간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기에 부적합한 건충물
② 국,공유지의 무허가 건물(일반주거지의 무허가 건물 포함), 비정상적인 건축구조물(천막, 판자집 등), 7평 미만의 협소한 집, 전기나 상하수도 등 부대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주택
③ 불량촌(불량 주거지)이란 불량주택들이 일정한 공간상에 연속적으로 위치해 있고 그 비율이 높은 지구를 말한다.
④ 개발도상국의 불량촌과 선진국의 슬럼(slum)이나 게토(ghetto)와는 구별이 되어야 한다.
지역주택정책
Download : 지역주택정책.hwp( 72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지역주택정책
,인문사회,레포트
지역주택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그러므로 주택부족과 불량촌 형성이 지역주택문제의 point을 차지하게 되었다.
제1절 지역주택정책의 의의
1. 지역주택문제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 이후 도시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많은 농촌인구가 도시로 이동하여 도시에 거주하였지만 이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기존의 재고주택은 매우 제한적이었다.3. 도시지역 불량주거環境(환경)의 특성(特性)
1) 물리적 특성(特性)
① 경사가 급한 고지대, 홍수, 침수위험이 있는 하천변 등에 입지함으로써 주거입지에 부적합한 재해의 위험이 내재된 지역에 입지하고 있음.
1…(skip)③
④ 주거면적의 협소, 부적합한 공간의 사용, 프라이버시의 미확보, 건축재료의 열악성, 주택설비의 노후 등
2) 사회, 경제적 특성(特性)
① 대부분이 농촌을 지역적 배경으로 갖고 있는 이농민 출신.
② 새로운 삶의 기회와 방식에 대한 강한 욕구를 지닌 집단으로 형성.
③ 여성 가구주가 많으며 가족 중 질병자가 많음. 가구주의 학력은 낮지만 교육열은 높음.
④ 단순노무직, 판매서비스직, 노상과 행상직이 주류.
⑤ 친척간, 이웃간, 직장동료간 긴밀한 사회적 연결망 구축.
⑥ 대중교통수단의 이용가능성과 연계되어 있음.
⑦ 이들간에도 계층화가 존재.
설명
지역주택정책에 대한 資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