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성균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24 15:16
본문
Download :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성균관.hwp
2) 그러나 정규 과거시험인 문과(대과)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 곳에서 일정기간 수학을 해야 하는 ‘원점제도’(圓點制度)가 있었기 때문에 1년 정도는 머무르며 수학해야 했다.
10. 성균관의 재정
1) 성균관의 재정은 국가에서 지급한 전답, 노비, 어장, 그리고 수시로 지급되는 현물로 되어 있었으며,
2) 성균관 재定義(정이) 운영은 성균관 내에 설치된 양현고(養賢庫)에서 담당하였다.
2) 경학(經學)과 강학(講學): 학교의 활동은 사서와 오경으로 대표되는 유학의 기본경전을 학습하는 경학과 여러 가지 문예적인 형식의 연습을 하는 강학으로 되어 있었다.
3) 유생들의 생활은 「학령」을 기본 규범으로 하여 엄격하게 규제되었다. 양현고는 유생들의 의식주에 필요한 경비를 지출하고 감독하였다.
2) 잡서의 금지: 경전의 학습에 있어서 주자의 주석이 표준적인 해석으로 전제되었기 때문에 성리학적 유학 이외의 다른 학풍과 서적들은 철저하게 금해졌다.
4) 엄격한 생활 규칙에 매여 있던 성균관 유생들은 자치회를 구성하여 자율적인 생활을 영위했다.
2) 강은 암송하는 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암송한 글의 문리를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이들은 성균관 유생 교육외에도 종학의 교육과 4학 유생의 교육도 맡는 일종의 겸임교관이었다.
4) 교육과定義(정이) 운영: 4서와 5경의 9재(九齋)의 제도를 마련하여, 대학재→논어재→맹자재→중용재→예기재→춘추재→시재→서재→역재의 次例대로 이수하도록 하였다.
2. 성균관의 구조
1) 문묘 : 문묘는 대성전과 동무, 서무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이 곳에는 공자를 위시하여 유학의 발전에 기여한 선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었다.
3. 성균관의 교관직제
1) 지사(정 2품)에서 학유(종 9품)에 이르기까지 모두 38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사회지도자의 양성(成人材) :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은 장차 국가를 이끌고 갈 사회 지도자를 양성하는 일이었다.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성균관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성균관
Download :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성균관.hwp( 36 )
인문,사회,조선,관학,성균관,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인문][사회]%20조선의%20관학%20-%20성균관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C%A1%B0%EC%84%A0%EC%9D%98%20%EA%B4%80%ED%95%99%20-%20%EC%84%B1%EA%B7%A0%EA%B4%80_hwp_01.gif)
![[인문][사회]%20조선의%20관학%20-%20성균관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C%A1%B0%EC%84%A0%EC%9D%98%20%EA%B4%80%ED%95%99%20-%20%EC%84%B1%EA%B7%A0%EA%B4%80_hwp_02.gif)
다.레포트/인문사회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