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8 06:26
본문
Download : 해양개발.hwp
많은 환경론자들은 얼마 남지 않은 원시림과 미개척지들을 그대로 남겨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마존의 밀림과 시베리아의 침엽수림 지대는 이미 개발이라는 미명 아래 심각한 훼손을 당하고 있다 무성한 숲이 베어진 자리는 식량을 얻기 위한 경작지, 공장, 주택을 짓기 위한 용지로 바뀌고 있다 현재 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국가들은 늘어나는 인구와 부족한 자원, 주택,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발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사실 그 동안 마구잡이 개발로 지구환경을 망쳐놓은 주범은 오늘날의 선진국들이다.





서론
바다는 지구의 4분의 3이라는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그 동안 인류는 바다에서 많은 도움을 얻었다. 오늘날 육지는 더 이상 개발할 공간이 남아 있지 않은 실정이다. 드넓은 바다물은 그 자체가 무한한 에너지원이다. 최근에는 물고기를 잡고 뱃길로 이용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해저에 묻힌 석유를 비롯해 갖가지 광물 자원을 캐내기 위해 전세계의 얕은 바다에는 수많은 시추선과 탐사선들이 여러 가지 장비를 바다 속으로 드리우고 있다 바다는 자원뿐만 아니라 엄청난 에너지도 제공해준다.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하는 조력발전, 파도의 힘을 이용하는 파력발전, 해양의 온도차이를 이용하는 발전 등은 태양열과 마찬가지로 무진장하며 공해 없는 청정 에너지라는 점에서 future(미래)의 에너지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그렇다면 해결책은 무엇일까?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다. 수많은 어류와 수산자원들은 바다가 아니면 얻기 힘든 소중한 재산이었다.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에서는 바다가 다른 세상과 연결해주는 유일한 통로였다. 그런데 이제 막 개발을 시작해 경제 성장을 해보려는 개발도상국들에게만 환경문제를 들어 개발을 포기하게 한다는 것도 불가능한 일이다.
맺음말
해양자원 바다환경 해양도시 인공섬
해양개발
순서
구상되는 다양한 기술
해양자원 바다환경 해양도시 인공섬 / ()
해양자원 바다environment 해양도시 인공섬 / ()
Download : 해양개발.hwp( 97 )
설명
거대 해상 공항붐
부산의 인공섬 계획
시작된 해양 도시 건설
future(미래)의 해양도시
이처럼 바다는 자원, 에너지, 그리고 생활 공간을 마련해 줄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인류의 터전이다.